지난 25일(이하 현지시각) CNBC에 따르면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인터뷰에서 미국 정부가 인텔에 이어 다른 기업 지분 인수에 나설 것이며 이는 미국형 국부펀드 설립 전략이라고 밝혔다. 해싯 위원장은 "언젠가 더 많은 거래가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며 "이 산업이 아니더라도 다른 산업에서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인텔 보통주 4억3330만 주를 주당 20.47달러(약 2만8484원)에 매입해 9.9% 지분을 확보했다. 총투자액은 89억달러(약 12조4500억원)다. 이 자금 중 상당 부분은 전임 바이든 행정부가 마련한 반도체 법 보조금과 연계된 자금으로 구성된다. 미국 정부는 이사회 의석이나 별도 경영 권한은 갖지 않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런 수익성 높은 거래를 하는 기업들을 도울 것"이라며 "그들의 주가가 오르는 게 좋다. 미국이 더 부유해진다"고 주장했다.
다만 해싯 위원장은 정부가 기업 운영에 관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해싯 위원장은 "선거운동 때부터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국부펀드를 설립했으면 좋겠다고 분명히 말했다"며 "언젠가 더 많은 거래가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초 국부펀드 설립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국부펀드는 주로 막대한 천연자원을 보유한 소규모 국가들이 거래 자금 지원으로 활용하는 수단이다. 노르웨이가 약 1조8000억달러(2504조7000억원) 규모 세계 최대 국부펀드를 소유했으며 중국과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등도 대규모 국부펀드를 운용한다.
미국 정부가 기업 지분을 대거 취득하는 건 드문 일이다. 하지만 해싯 위원장은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미국 정부가 지분을 인수한 패니메이와 프레디맥을 사례로 언급하며 전례가 없는 건 아니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