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 방식은 인천시민에게는 무료, 타지역 주민에게는 통행료를 부과하는 방식이다. 감면시스템에 등록된 시민 소유 차량은 차종·대수·이용 횟수와 관계없이 무료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다만 등록하지 않은 차량이나 법인 차량, 단기 렌트·리스 차량 등은 제외된다.
유정복 시장은 기자회견에서 "제3연륙교는 단순한 교량이 아니라 시민 권리 회복과 불평등 해소의 상징"이라며 "통행료는 2000원으로 책정했지만 인천시민에게는 무료화가 원칙"이라고 강조했다.
유 시장은 제3연륙교 건설 과정에서 △국가 책임 회피 △LH의 건설 지연과 개발이익 편취 △불공정한 통합채산제 등 구조적 문제로 시민 부담이 전가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가와 공공기관이 해야 할 일을 회피한 결과 모든 책임이 시민에게 전가됐다. 이제는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제3연륙교는 영종·청라 주민과 인천시가 함께 비용을 부담해 건설하는 사실상의 공공사업이라며 "시민이 이미 분양가와 세금으로 기여했기 때문에 무료화는 당연한 권리"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토교통부는 영종대교 민자 협약을 재검토하고 LH는 토지 매각 수익과 분양 이익을 무료화와 손실보상 재원으로 환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통행료 정책 발표 이후 인천 지역 시민단체들은 정책 결정을 지지하며 시행이 지연될 경우 법적·사회적 대응을 예고했다. 시민단체는 "제3연륙교 무료화는 시민의 권리이자 정의 문제"라며 "국가와 LH가 끝내 책임을 다하지 않는다면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
제3연륙교는 현재 약 90%의 공정률을 기록하며 연말 개통을 목표로 공사가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