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안영준 기자 = 시민단체가 철인3종 성폭행 은폐 의혹을 규탄하며 피해자 보호와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체육시민연대, 문화연대, 스포츠인권연구소,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문화예술스포츠위원회 등 시민단체는 27일 국회 소통관에서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진보당 손솔 의원과 함께 '대한철인3종협회의 미성년 선수 성폭력 및 불법 촬영 의혹 은폐·축소'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대한철인3종협회 소속 A선수는 지난 1월 협회 주최 꿈나무 동계합숙훈련에서 후배 B선수에게 성폭력 및 불법 촬영을 한 혐의로 현재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이 과정에서 대한철인3종협회는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를 두둔했으며, 영상 삭제를 지시하고 합의된 성관계로 규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대한체육회와 스포츠윤리센터에 사건을 축소 보고한 정황도 드러나, 논란은 더욱 증폭됐다.
손솔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훈련을 관리·감독한 지도자들이 오히려 피해자 탓을 하며 사건을 축소했고, 협회에서는 피해자에게 3개월 출전정지 징계를 내리기까지 했다"면서 "폭력 등이 벌어지지 않게 예방해야 하는 것이 지도자와 협회의 의무이고, 사건 발생 시 인권·성평등 관점에서 처리하는 것이 책무"라고 지적했다.
이어 "대한철인3종협회와 대한체육회는 피해자에 대한 적극적 보호 대책을 분명히 해야 하며, 처리 과정이 잘못된 것을 확인하고 대책을 마련하라"면서 "책임을 방기하거나 의도적 은폐를 시도한 점이 있다면 분명히 지적하고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스포츠인권연구소와 체육시민연대 등 시민단체들 역시 "증거보전에 역행하는 영상 삭제 지시 정황, 합의로 규정한 축소 보고 의혹은 협회 보고 체계와 지휘라인 전반의 실패"라고 규정하면서 "이번 사건은 (A선수) 개별 일탈을 넘어, 협회의 관리 감독 및 보고 절차의 총체적 문제가 있다. 가림이 아닌 공개, 회피가 아닌 책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시민단체들은 피해자에 대한 즉각적 보호 대책 마련, 폐쇄된 체육계 인권 문제 해결, 경찰의 신속 엄정 수사 촉구, 국회의 체육 대개혁 청문회 개최 등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