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8회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사진=뉴스1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두고 야당에서는 반쪽짜리 이전이라며 반대하는 가운데 전재수 해수부 장관이 해수부 이전을 올해 안에 반드시 완료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또 해수부 산하 이전 대상 공공기관도 최대한 빨리 발표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전 장관은 지난 26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대해 답변하면서 "연말까지 해수부를 이전하겠다는 약속을 반드시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전 장관은 "해양 행정을 총괄하는 해수부가 마중물 역할을 하고 공공기관, 해사전문법원, HMM 등을 집적화해서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라며 "전체 해수부 산하 공공기관이 17개 있고, 부산으로 이전한 6곳을 제외한 나머지가 이전 검토 대상이며, 해수부가 부산으로 내려간 뒤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방향으로 이전 대상 공공기관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HMM 이전 문제에 대해서도 전 장관은 "정부가 지분을 많이 갖고 있다고 해서 일방적으로 이전을 추진할 수 없다는 게 원칙이다, 내부적으로 거쳐야 할 과정이 있고 그 절차가 끝나는 대로 전반적인 로드맵을 만들어서 노든 사든 적극적으로 만날 계획'이라고 했다.

반면 지난 26일 장동혁 국민의힘 신임 당대표는 "부산 출신 의원을 해수부 장관에 앉히고 곧바로 연내에 해수부를 이전하겠다고 하는 것은 내년 지방선거에서 한 석을 더 얻기 위한 얄팍한 정치적 행위라고 보고 있다"고 밝혔다.


정동만 국민의힘 부산시당 위원장(왼쪽 다섯 번째)이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박수영·조승환·김미애·김도읍·김희정·곽규택·박성훈 의원과 해양수산부 이전 특별법 관련 해수부 기능 강화와 해양산업 발전을 위한 내용이 담겨야 한다며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국민의힘 부산지역 의원들도 지난 25일 국회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단순한 행정기관 이전에 그치는 반쪽짜리 법안으로는 부산을 글로벌 해양수도로 도약시킬 수 없다"며 해수부 부산 이전에 대한 실질적 기능 강화와 산업 육성을 담은 특별법 제정을 강력히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