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일 평택에서 열린 김동연 지사와 자동차 수출기업과 현장간담회 모습. /사진제공=경기도
경기도가 관세 피해를 입은 기업들을 돕기 위해 지원 문턱을 대폭 낮추고 지원 대상을 확대하는 등 맞춤형 지원에 나선다.

기존의 수출 중소기업뿐 아니라 협력사까지 지원 대상에 포함시키고, 수출액 제한 요건도 없애 더 많은 기업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했다.


28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지난 20일 평택에서 열린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자동차 수출기업 현장 간담회에서 제기된 의견을 경기도가 즉각 반영한 결과다. 당시 기업들은 "중소기업이 각종 지원책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춰달라"고 건의한 바 있다.

도는 이를 반영해 하반기부터 수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수출지원 사업 공고 시 전년도 수출액 제한 요건을 없애 더 많은 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기존 사업인 해외규격인증, 물류비 지원, 통상촉진단 등은 수출실적 2000만 달러 이하, 무역위기대응 패키지는 3000만 달러 이하라는 조건이 있었다.

친환경차 부품 수출기업 인증 지원 시에도 중소기업을 우선 선발해 정책 수혜 폭을 넓힐 계획이다. 또 '경기기업비서'를 통해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정책 정보를 제공하고,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과 협력해 자동차 부품기업 대상 정책설명회도 추진한다.


도는 여기에 더해 '가칭 경기도 관세피해 수출기업 경쟁력 강화 펀드'(G펀드)를 조성해 내년 초 투자조합을 결성하고 기술·시장성이 있는 중소기업에 집중투자할 방침이다. 총 500억원 규모로 조성하며, 신기술·신시장·신사업 기업에 투입한다.

관세 피해로 경영난을 겪는 기업들을 위한 특별경영자금도 한층 확대한다. 기존에는 대미 수출기업이 대상이었지만 앞으로는 2·3차 영세 협력사까지 포함한다. 경기도는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이후 지원 규모를 1000억원으로 확대했다. 이번 시행하는 특별경영자금은 2·3차 협력사 등을 위해 자금을 별도 배정해 운영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관세 피해기업이 현장에서 겪는 복잡한 규제와 행정 절차상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규제 개선'도 병행한다. 다음 달부터 12월까지 도내 제조업 현장을 직접 방문해 자동차, 배터리, 반도체 분야 기업을 대상으로 규제 발굴과 개선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정두석 경기도 경제실장은 "앞으로도 현장에서 제시되는 다양한 건의 사항을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정책과 제도 개선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