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경기 RE100' 비전을 선포한 경기도는 이후 2년 만에 시군과 적극적 협력으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2023년 기준 도내 131개 준공산단 중 전체의 37%인 49곳에서만 태양력 발전업이 가능했다.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치던 태양력 발전업은 6월 현재 114개(87%) 산단으로 확대돼 2.3배 증가했다. 면적 기준으로는 전체 1억463만7000㎡ 중 1억305만5000㎡로 전체의 98.5% 수준이다.
경기도는 산업단지 내 공장 지붕이나 유휴부지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해 생산한 재생에너지를 단지 내 공장과 외부 기업에 공급하는 '산업단지 RE100'을 추진하고 있다. 민간 발전사업자 등이 산업단지 내에서 태양력 발전업을 하려면 해당 업종을 관리기본계획에 입주 허용 업종으로 반영해야 한다.
민간 발전사업자가 산업단지 내 공장 지붕이나 유휴 부지에 태양광 시설을 설치하려면 해당 업종을 관리기본계획에 입주 허용 업종으로 반영해야 한다. 기존에는 이 절차를 거치지 않은 산단이 많아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경기도는 관리기관인 시군과 지속적인 협의를 거쳐 행정·재정적 지원을 제공하며 제도 개선을 추진해왔다.
시군의 관리기본계획 변경을 위해 지난해 도비 2억4800만원을 일부 시군에 지원해 환경영향평가 용역을 실시했다. 변경을 추진하는 시군에는 신속한 승인을 했다. 경기도는 이를 통해 전국에서 가장 넓은 면적의 기존 산단에 RE100 추진 행정기반을 확보하게 됐다.
정두석 경기도 경제실장은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을 선도하기 위해 도내 기존 산단의 재생에너지 설치 기반을 마련, 발전사업자들의 투자가 한층 용이해 졌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