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화재는 유방암 관련 치료현황을 파악하고 고객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보험상품 및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을 위해 9만 2000건의 건강 빅데이터를 분석했다고 29일 밝혔다./사진=이미지투데이
가장 흔한 여성암으로 꼽히는 유방암의 평균치료비가 1700만원을 넘어서며 유방암 환자들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가 9만2000건의 건강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유방암 환자의 평균 의료비는 1767만원을 기록했다.


치료 기간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1년 내 치료가 끝난 경우는 751만원, 1년을 넘어 장기화된 경우는 2380만원까지 늘었다.

이처럼 치료 기간이 길어질수록 환자의 경제적 부담은 더욱 가중됐다.

수술과 항암치료 등의 직접치료 비용은 대부분 진단 후 2년 이내에 집중되며 이후에도 보조치료, 재활치료, 요양·간병 등이 이어지는 영향 때문이다.


연령별로는 30대 장기치료자가 2759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40대 2426만원, 50대 2359만원, 60대 2154만원 순이었다. 이는 치료 방법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설명했다.

전체 유방암 환자의 전절제술 시행률은 30.2%인데 비해 30대 유방암 환자의 경우 40.2%로 높은 편이었다.

또한 HER2+, 삼중음성 유방암 등에 활용되는 표적, 면역치료제가 적용된 빈도도 타 연령대비 높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의 경우 보존술 대비 재건술 및 항암 치료율이 높았다. 이로 인해 직접치료 비용은 평균 545만원 더 들었다. 표적, 면역치료제의 경우 HER2+, 삼중음성 유방암에서 효과적이다. 하지만 검사 결과 등에 따라 제한적으로 급여가 인정돼 비용 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

유방암은 생존률이 96.8%로 높은 만큼 치료 이후 관리도 중요하다.

항암·호르몬 치료 후 발생하는 부작용과 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많다. 환자와 가족들은 소득 상실과 간병 부담 등 경제적 압박까지 동반하게 된다.

삼성화재 헬스케어사업팀 이해성 상무는 "고객 건강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보험이 힘이 될 수 있는 시점과 항목을 정밀하게 파악하고자 했다"며 "앞으로도 암 치료와 더불어 이후 생존과 삶의 질 개선이라는 측면에서 고객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꾸준하게 찾는데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