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중앙지법 김건희 특별검사팀이 오는 2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횡령 등 혐의를 받는 조영탁 대표와 민경민 오아시스에쿼티파트너스 대표, 증거은닉 혐의를 받는 IMS모빌리티 이사 A씨에 대한 영장실질심사를 연다. ‘김건희 집사 게이트' 의혹에 연루된 혐의를 받는 조영탁 IMS모빌리티 대표가 조사를 받기 위해 지난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 사무실로 출석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김건희 여사와의 친분을 내세워 각종 이권을 챙겼다는 의혹, 이른바 '김건희 집사 의혹'의 핵심 인물로 꼽히는 조영탁 IMS모빌리티 대표 등 3명이 2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는다.

1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은 2일 오전 10시30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횡령 등 혐의를 받는 조영탁 대표와 민경민 오아시스에쿼티파트너스 대표, 증거은닉 혐의를 받는 IMS모빌리티 이사 A씨에 대한 영장실질심사를 연다.


특별검사팀은 이들이 수사 과정에서 증거를 은닉하려 한 정황 등을 포착하고 신병 확보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조 대표는 32억원 상당의 배임과 35억원 규모의 횡령, 외부감사법 위반, 증거은닉교사 혐의를 받는다. 민 대표는 32억원 상당의 배임, A씨는 증거은닉 혐의가 각각 적용됐다.

이번 수사는 김 여사가 운영했던 코바나컨텐츠 후원 기업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대기업들이 자본잠식 상태였던 IMS모빌리티에 거액을 투자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시작됐다.


특검은 2023년 6월 대기업들이 IMS모빌리티에 184억원을 투자한 배경에 김 여사 일가와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진 '집사' 김예성씨의 존재가 작용했을 가능성을 의심하고 있다.

특검은 이 투자금 중 46억원이 김씨의 차명 법인으로 의심되는 이노베스트코리아로 유입된 사실을 확인하고, 이 자금의 일부가 김 여사 측에 흘러 들어갔을 가능성도 수사 중이다.

앞서 특검은 지난 29일 횡령 등 혐의로 김씨를 구속기소 했으나 김 여사는 공범으로 적시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이들 3명의 신병 확보 여부가 향후 특검 수사의 향방을 가를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