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비즈니스 네트워크 서비스 '리멤버' 커뮤니티에는 '오후 4시 이후 사무실 커피 금지. 이게 가당키나 합니까'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부동산 개발 업체 직원이라는 A씨는 "전사 공지 메일을 받고 제 눈을 의심했다"고 운을 뗐다. A씨에 따르면 회사는 '금일부로 임직원 건강 증진 및 수면의 질 향상을 위해 오후 4시 이후 탕비실 커피머신 사용을 금지한다'고 공지했다.
A씨는 "아마 대표님이 어디서 늦은 오후의 카페인 섭취가 숙면을 방해한다는 둥 어쩐다는 둥하는 유튜브 영상을 감명 깊게 보신 게 틀림없다"며 "그러지 않고서야 이럴 수 있나. 저희 건강까지 챙겨주시려는 그 마음은 정말 감사하지만 이건 좀 아니지 않나"라고 지적했다. 이어 "야근이 없는 회사도 아니고 적어도 구성원의 10분의1은 1주에 서너번씩 야근한다"며 "그게 아니어도 한두 시간 더 일하고 퇴근하는 사람이 정말 많은데 우리의 피로도는 어떻게 하라는 것인가"라고 토로했다.
일부 직원들은 오후 4시 전 마지막 커피를 뽑아두기 위해 눈치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A씨는 "캡슐 커피머신인데 층마다 2개씩이라 4시 직전에 받아 놓으려면 20분 전부터 줄 서야 할 기세"라며 "수면의 잘 생각하면 그냥 4시에 퇴근시켜주는 게 더 좋을 텐데 차라리 오후 4시 이후엔 디카페인만 마시라고 하면 어떠냐"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직원 건강이라는 그럴싸한 명분으로 회사 탕비실 캡슐값 아끼고 직원들 돈은 더 쓰게 만드는 것 아닌가"라며 "이렇게 생각하니까 갑자기 열 받는다"고 덧붙였다.
사연을 접한 직장인들은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한 연구개발직 직장인은 "비용 절감을 (위해) 직원들 복지나 급여까지 손대기 시작한 회사는 이미 갈 데까지 간 회사"라며 "탈출하라"고 꼬집었다. 다른 누리꾼들은 "먹을 것까지 관여하는 건 좀" "그런다고 커피 안 마시겠냐. 다 사 먹을 텐데" "돈 드니까 먹지 말라는 말을 고급스럽게 하네" "회사에서 커피를 반드시 제공해야 하는 뉘앙스는 어폐가 있어 보인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