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내생애 첫 페스티벌'


(서울=뉴스1) 박정환 문화전문기자 =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2025 내생애 첫 페스티벌'이 오는 5일부터 21일까지 매주 금토일마다 대학로 성균소극장에서 열린다.


기획사 구슬주머니에 따르면 이번 축제는 관객의 아이디어와 예술가의 기획을 연결해 무대화되지 못한 작품을 선보이는 실험적 프로젝트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리며, 총 다섯 단체가 참여한다.

첫 주 무대는 김남진피지컬씨어터의 '나는 모지민'이다. 남자로 태어나 여자로 살아온 아티스트 모지민의 삶을 중심으로 무용, 연극, 한국의 소리를 결합했다. 안무는 김남진이 맡고 소리꾼 김보라가 참여해 신체와 소리가 어우러진 무대를 펼친다.

둘째 주에는 연희프로젝트 소용이 '3일의 본굿'을 선보인다. 하애정이 이끄는 단체는 전통 마을굿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의례본굿, 장고놀이 본굿, 북놀이 본굿으로 이어지는 3일간의 무대는 관객과 출연진이 함께 어우러지는 축제 마당을 이룬다.


셋째 주에는 사단법인 한국춤예술센터와 회원 단체들이 공동으로 기획한 무대가 이어진다. 가족예술단 예그리나의 '이현선, 4대 가족의 울림'은 무용계 명가 이현선의 4대가 함께 전통, 창작, 발레를 아우르는 공연을 펼친다.

이어 박덕상 타·무·천예술단이 '혼, 울림'을 무대에 올린다. 승무, 오북춤, 장고산조, 살풀이춤 등 전통춤과 타악의 향연이 준비돼 있다. 다양한 장르의 전통춤이 관객에게 울림을 전한다.

예인 매고동은 '매고동의 감성으로 푸는 우리음악-世in의 파동'을 선보인다. 춤꾼 황규선, 김은숙이 함께하며 소리와 춤, 타악과 연희를 결합한 실험적 무대로 한국 정서를 현대적으로 표현한다.

이번 축제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한국소극장협회가 후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