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박정환 문화전문기자 = 문화체육관광부가 '제2회 박물관·미술관 박람회'를 4일부터 7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다. 이번 박람회에는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등 146개 기관이 참여해 미래 박물관·미술관의 비전을 제시한다.
김영수 제1차관은 4일 개막식 현장을 찾아 관계자들을 격려할 예정이다. 김영수 차관은 "'케이-컬처' 300조 원 시대를 열어갈 핵심 문화시설로서 박물관·미술관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며 "문체부는 박물관·미술관을 통해 지역문화 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박람회는 '변화하는 사회와 박물관·미술관의 도전'을 대주제로, '전통의 계승과 보존', '교육과 창의의 힘', '디지털 시대의 대전환' 세 가지 소주제를 통해 박물관·미술관의 미래 방향을 모색한다.
참여 기관은 지난해 100개에서 올해 146개로 늘었다.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민속박물관 등 주요 국립관과 함께 57개의 사립관도 참여해 총 346개 부스를 운영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문화자원 인공지능(AI) 모델 개발 성과를, 국립현대미술관은 '이건희 컬렉션' 작품 VR 전시를, 국립민속박물관은 '찾아가는 어린이박물관' 버스를 선보인다.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은 기념품 '뮷즈'를 매일 100개 한정 판매하며, 박람회 종료 시점에는 10% 할인행사를 진행한다.
체험·교육 프로그램도 다양하다. 쉐마미술관의 '툭툭, 톡톡-다양한 물질의 모빌 만들기', 조선민화박물관의 '민화컵받침' 등 23개 체험과, '강산무진도', '고궁연화', '이음, 리듬' 등 디지털실감영상작품 28개가 관람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전문가를 위한 박람회'로서 학술 토론회와 교류 행사도 강화됐다. 오는 4일 국제 학술 토론회에서는 야마나시 에미코 일본박물관협회장이 '변화하는 사회와 박물관·미술관'을 주제로 강의한다. 오는 5일에는 뮤지엄 콘서트, 6일에는 '관장과의 대화'가 마련돼 교류의 장을 확장한다.
특별체험으로는 인형 수리, 인공지능을 활용한 사주·궁합 풀이, 케이-부적 제작, 캘리그래피 시연 등이 준비됐다. 채용박람회 '뮤지엄 잡다(Job多)'도 열려 전공 대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취업 상담과 설명회가 진행된다. 개막식 무대에는 국악 소녀 김태연의 공연이 펼쳐진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