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출범한 경기도 감사위원회는 공직자들이 적극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경기도 감사위원회 적극행정 면책 규정'을 제정, 면책 범위를 크게 확대했다. 과거에는 국민권익위의 사전 컨설팅감사 권고가 있어야만 면책이 가능했으나, 이제는 공무원들이 보다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행정을 펼칠 수 있게 됐다.
전국 지방정부 최초로 데이터감사팀을 신설해 감사업무 디지털 전환에도 나서고 있다. 특성상 비전자문서가 많은 감사 기획부터 결과, 이행상황 관리까지 모든 과정을 디지털화·데이터베이스(DB)화하는 '감사정보시스템'을 구축, 연말부터 본격 활용할 예정이다.
또, AI(인공지능) 법률 자문서비스를 감사 전반에 도입했다. 지난해 12월 '범죄예방 도시환경디자인 사업' 특정감사에 소셜 데이터 분석으로 감사 주제를 발굴, 11건의 시설관리 미흡 사례를 적발해 개선 조치했다.
감사위원회는 도내 시군과 협력에도 주력하고 있다. 지난 3월 공식 출범한 '경기도-시군 감사협의체'는 '보도육교 안전관리실태 점검'을 협력 감사 주제로 선정, 도내 550여 개의 보도육교와 유사 시설물에 대해 최초로 도, 시군 협력 특정감사를 추진 중이다.
핵심 업무인 기관 운영 종합감사에서도 변화를 이끌고 있다. 도 산하 공공기관 종합감사를 지난해 3곳에서 7곳으로 2배 이상 확대했다. 공공기관 공용차량 실태 점검이 필요하다는 경기도의회 의견을 반영, 공용차량 특정감사를 실시해 도의회와의 협치도 확대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재정 건전성과 계약 품질 확보를 위한 계약심사에서도 성과를 보였다. 지난해 총 2,438건, 1조9267억원 규모의 계약심사에서 551억원 예산을 조정, 세금을 절약했다. 여기에 도·시군·공공기관 79개 기관의 이행 실태를 점검해 99.7%의 높은 준수율을 기록했다. 또한, 소극행정 실태감사를 실시해 17건을 적발, 4722만원을 환수해 적극행정을 이끌어 냈다.
안상섭 경기도 감사위원장은 "앞으로도 도민 기대에 부응하고 눈높이에 맞는 감사 행정을 위해 지속적인 시스템 개선과 정책적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