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에 따르면 술은 신체 여러 부위에 영향을 미치지만 특히 간에 가장 큰 문제를 일으킨다. 우리나라 만성 간 질환 환자의 15~20%가 알코올 간 질환에 의한 것으로 조사됐다. 만성 B형 간염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원인이다. 대부분의 습관적 음주자는 알코올 지방간을 앓고 있고 10~35%는 알코올 간염을, 10~20%는 알코올 간경변증을 앓는 것으로 알려졌다.
알코올 지방간 환자는 대부분 별다른 증상이 없어 건강검진 혈액검사에서 간 기능 이상을 우연히 발견하는 경우가 많다. 다른 이유로 신체검사를 받다가 우상복부에 간이 커져 있는 것이 만져져서 알게 되는 사례도 흔하다. 간혹 나타나는 통증은 ▲피로감 ▲소화불량 ▲우상복부 불편감 또는 통증 등이 있다.
알코올 간염 역시 알코올 지방간과 마찬가지로 별다른 증상이 없거나 피로감과 소화불량, 우상복부 불편감을 느끼는 정도다. 증상만으로 두 질환을 구분하기 어렵다. 다만 간 손상이 심한 경우에는 우상복부 통증, 고열, 심한 황달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간경변증이 없더라도 배에 물이 차는 복수, 정맥류 출혈, 간성뇌증이 나타날 수 있다.
알코올 간경변증은 간세포에 염증과 섬유화가 발생하고 결국 세포가 괴사하는 상태를 말한다. 아무런 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지만 간경변증이 심해지면 복수가 차거나 식도정맥류가 발생해 점점 커지다가 결국 파열돼 심한 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혈액 응고 기능에 이상이 생기거나 뇌 기능 및 콩팥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알코올 지방간이나 간염은 회복될 수 있지만 간경병증은 대체로 회복되기 어렵다.
알코올 간 질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금주다. 간 기능 검사에서 이상을 보일 때 병원에서 사용하는 간 보호제들은 간세포의 손상을 막고 안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으나 음주를 계속하면 간은 계속 손상을 받고 악화한다. 간이 심각하게 손상돼 다른 방법으로 회복될 수 없다면 유일한 대안은 간 이식이다. 물론 간 이식에 성공한 뒤에도 음주를 지속한다면 또다시 알코올 간 질환이 올 수도 있다.
질병청은 "술을 마시지 않는 것이 (알코올 간 질환의) 가장 확실한 예방책"이라며 "술을 마실 수밖에 없는 경우에는 천천히 조금만 마셔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술을 마셨으면 다음 날은 쉬어야 한다"며 "안주를 꼭 함께 먹고 안주는 과일이나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을 선택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