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 노조는 9일 오전 8시 1층 정문 로비에서 '금융감독체계 개편에 반대하는 시위'를 진행하기로 했다. 정부·여당이 전날 금감원 내 금융소비자보호처를 분리해 금소원을 신설하고, 금감원과 금소원을 공공기관으로 지정하겠다고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금감원 직원들은 조직개편에 반대하는 의미를 담아 '검은색 상의'를 함께 착용하기로 전해졌다. 이날 금감원 사내 게시판에도 원장과 임원들을 비판하는 글이 다수 게시된 것으로 파악됐다.
조직개편 논의 초기부터 노조가 반대 입장을 밝혀온 만큼 임원들도 국회를 찾아가거나 공개적으로 목소리를 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금감원 한 관계자는 "조직개편에 대한 임원들의 액션이 부족했다는 직원들의 실망감이 크다"고 말했다.
노조는 금소원 별도 신설에 반발하는 성명서를 배포했다. 노조는 이번 조직개편이 ▲감독 인적자원 분산 ▲조직 내 갈등 ▲직원의 사기 저하 ▲금융사 검사 부담 가중 ▲행정비용 증가 ▲업무 중복 등 조직 쪼개기의 전형적 폐해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올해 7월 금감원 직원 1539명도 국정기획위원회에 제출한 호소문을 통해 사실상 금소원 신설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노조 측은 "득보다 실이 명백한 금융소비자보호원 신설 추진을 반대한다"며 "국민과 소비자, 그리고 금융시장의 안정은 정치적 이해관계보다 우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이세훈 수석부원장은 9층 대회의실에서 긴급 설명회를 열고 정부가 추진할 조직개편 내용과 향후 방향 등을 설명했다. 간담회장은 빈자리 없이 가득 찼으나 직원들이 노조와 별개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를 꾸리는 등 내부 반발이 심해지는 상황이다.
금감원 수장인 이찬진 원장은 이날 직원들에게 보낸 공지에서 "감독체계 개편이 합리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으나, 결과적으로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금소원을 분리·신설하기로 한 정부 조직 개편 결과에 대해선 공개석상에서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