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올해 1~8월 국내 전기차 판매량은 14만2456대로 전년 동기 대비 48.4% 증가했다. 지난 4월 이후 5개월 연속 전년 대비 증가세를 이어가며 뚜렷한 회복 흐름세를 보였다.
전체 신차 등록 차량 중 전기차 비중은 12.7%로 지난해(8.9%)보다 3.8%p 상승했다. 이 추세라면 이달 중 지난해 연간 판매량(14만6734대)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국산 전기차는 전년 대비 48.2% 증가한 8만6777대가 판매돼 전체 시장의 60.9%를 차지했다. 수입 전기차는 48.6% 증가한 5만5679대가 팔렸다.
제조사별로는 기아가 'EV3', 'EV6' 등의 판매 호조와 신차 'EV4' 출시로 1위를 차지했다. 현대자동차는 '더 뉴 아이오닉 5', '캐스퍼 일렉트릭', '아이오닉 9'의 판매 호조로 2위를 기록했다. 테슬라는 '모델 Y 주니퍼'의 인기로 3위를 차지했다.
신차 출시가 전체 판매량 증가를 견인했다. 지난 5월 출시한 모델 Y는 2만8828대가 판매되며 단일 모델 기준 최다 판매를 기록했다. EV3, 캐스퍼 일렉트릭 등 보급형 및 소형 전기차들도 소비자 선택을 받았다. 대형 SUV 아이오닉 9, 픽업트럭 무쏘 EV는 전기차 선택지를 넓혔다는 평가다.
정부의 보조금 정책도 시장을 뒷받침했다. 보조금 지급을 앞당기면서 2월에만 전년 대비 560% 증가한 1만3128대가 팔렸다. 제조사 할인에 연계한 추가 보조금 정책도 전기차 가격 하락을 유도하면서 소비자 접근성을 높였다.
이러한 회복세에도 KAMA는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한 올해 전기차 보급 목표 물량인 33만 대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산 전기차의 빠른 확산도 경계해야 할 요소로 꼽았다. 중국산 전기차는 4만2932대가 팔리며 전년 동기 대비 69.4% 늘었다.
보조금 소진 속도도 부담이다. 현재 지급률은 75.2% 수준으로 하반기 판매 둔화 가능성이 제기, 전기차 판매 호조를 이어가기 위해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강남훈 KAMA 회장은 "국산 전기차의 가격 경쟁력 확보와 국내 제조 기반 유지를 위해 '국내생산촉진세제' 등의 인센티브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추가로 전기차 보조금 확보를 위한 추경 검토, 충전 인프라 확대를 위한 지원 등도 제안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