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청년층·여성 등은 평가를 유보하거나 응답하지 않은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의 '최저임금 인상과 사회참여 정책 수요' 온라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2.8%가 최저임금에 대해 "이번 노사정 합의가 의미 있다"고 답했다.
최저임금위원회는 지난 7월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제12차 전원회의를 열고 2026년 최저임금을 올해보다 290원(2.9%) 오른 시간급 1만320원으로 결정했다. 이는 17년 만의 노사정 합의다.
이에 대한 연령대별 긍정응답률은 60~79세(72.3%), 성별로는 남성(69.2%), 소득별로는 월평균 가구소득 658만~1,188만원 미만(70.3%)에서 높았다. 반면, 청년층(19~29세, 36.4%)과 여성(33.6%), 일용직 근로자(34.5%)에서는 "잘 모르겠다" 또는 무응답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활동 여건 차이로 인한 정보 접근성 부족과 고용 안정성 격차가 사회적 대화를 이해하고 신뢰하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사회적 대화에 대한 이해와 참여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오후석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장은 "최저임금 합의라는 사회적 대화 성과를 실제로 이해하고 체감하며, 나아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역량으로 확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7월30일부터 8월1일까지 도내 만 19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5%포인트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