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의원실(더불어민주당·대전유성구을)이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날 오후 6시 기준 언론보도 이후 소액결제 관련 키워드로 접수된 고객 문의는 총 9만2034건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휴대전화 소액결제 시장 전체 민원 접수 건수(1만5044건)의 약 6배에 이르는 수치다.
앞서 KT는 자체 조사 결과 현재까지 파악된 피해자는 278명, 결제 취소를 포함한 피해액은 약 1억7000만원이라고 밝힌 바 있다. 회사 측은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 접속 회선을 통한 ARS 인증으로 상품권 결제가 이뤄진 사례를 추출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수만 건의 고객 문의가 쏟아지는 만큼 아직 드러나지 않은 '그림자 피해'가 대규모로 존재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황 의원실은 지난달 27일부터 열흘 동안 소액결제 이용자 수와 이용 금액 등 관련 자료 제출을 요청했지만 KT는 지난 10일 "월별로 관리 중이라 정확한 현황을 즉시 추출하기 어렵다"는 취지로 답변한 것으로 전해졌다.
황 의원은 "로그 기록과 요금 내역이 모두 시스템상 남아 있음에도 전체 소액결제 거래 현황을 파악할 수 없다는 KT의 태도는 해킹 피해 규모를 축소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낳는다"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직접 소액결제 내역을 전수 조사해 실제 피해 규모를 명확히 밝히고 축소·은폐 행위에 대해서는 강력히 제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