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루엠은 지난 12일 발표한 주주서한에서 전성호 대표의 두 아들을 보직 해임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경영승계와 관련한 불필요한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한 결정이라는 설명이다.
이밖에도 솔루엠은 서한에서 ▲특수관계인 거래 정리 ▲재발 방지를 위한 내부통제 시스템 보강 ▲조직 재편과 전자가격표시기(ESL) 중심의 신성장 전략 추진 등을 대대적으로 약속했다.
사물인터넷(IoT) 사업을 ESL사업부로 이관하고 리테일 미디어 네트워크(RMN)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하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특히 재발 방지 대책의 하나로 오는 10월 중 이사회 산하에 사외이사 중심의 내부거래위원회를 신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소액주주들의 반응은 냉담하다. 주주서한이 정작 핵심 쟁점에 대한 해명은 빠졌다는 것이다. 보여주기식 조치에 불과해 실질적인 경영 투명성, 책임경영 강화로 이어질 지 의문이라는 것이다.
주주들은 ▲상환전환우선주(RCPS) 발행의 적법성 여부 ▲본업과 무관한 계열사 '솔루엠헬스케어'에 대한 지원과 승계 의혹 ▲특수관계인과의 거래 의혹 등에 대해 회사가 명확한 설명을 내놓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솔루엠이 오너인 전성호 대표가 이사회 의장을 겸직하고 있어 이사회의 독립적인 경영진 견제·감시 기능이 사실상 무력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꾸준히 제기된다. 소액주주연대 관계자는 "현재 사외이사들은 모두 전 대표 체제가 장악한 이사회가 추천한 인사들"이라며 "독립성과 감시 기능을 강화하겠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솔루엠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자사주 118만9315주(2.43%)를 솔루엠의 최대주주인 전 대표에게 취득가보다 낮은 가격에 매각하는 안건 ▲RCPS 발행 및 계약 체결 안건 등에 대해 사외이사 전원이 찬성표를 던졌다.
소액주주연대는 대통령실·공정거래위원회·금융감독원 등 관계 당국에 탄원서를 제출하겠다는 계획을 고수하고 있다. 동시에 트럭 시위 등 강경 투쟁 방침도 유지하며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다. 현재 소액주주연대의 결집률은 8.7%에 이르며 청원·고발 서명운동에는 5.7%의 지분이 모였다.
다른 주주연대 관계자는 "주주서한 발표 이후에도 회사 안팎에서 다양한 제보가 이어지고 있다"며 "제보자와 관계자를 보호하기 위해 소액주주연대 집행부를 통해 제보를 관련 조사기관에 직접 전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