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뇨스 사장은 18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맨해튼 소재 '더 셰드'(The Shed)에서 글로벌 투자자, 애널리스트, 신용평가사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2025 CEO 인베스터 데이'(CEO Investor Day)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중장기 전략과 재무 계획을 발표했다.
현대차는 시장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목표로 2019년 도입한 CEO 인베스터 데이를 사상 처음으로 해외에서 개최하며 그 장소로 최대 자동차시장인 미국의 핵심 도시이자 글로벌 경제·금융·문화의 중심지인 뉴욕으로 정했다.
온라인 채널을 통해서도 생중계된 이번 행사에는 무뇨스 사장과 함께 이승조 부사장(CFO·재경본부장), 김창환 전동화에너지솔루션담당 부사장, 유지한 차량아키텍처&인테그레이션센터장 겸 자율주행개발센터장 전무 등이 발표자로 나서 현대차의 미래 전략에 대해 설명했다.
무뇨스 사장은 이전에 없던 다양한 HEV(하이브리드), 현지전략 EV(전기차), EREV(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 등 친환경 신차를 2026년부터 대거 출시할 계획이다.
차세대 전기차 플랫폼 도입과 후속 FCEV(수소전기차) 개발 등 지속적인 친환경차 라인업 강화를 통해 불확실성의 파고를 넘어 2030년 글로벌 자동차 판매 555만대 달성을 추진하겠다는 목표다.
올해 본격 생산을 시작한 HMGMA(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에 더해 앞으로 가동될 인도 푸네공장, 울산 신공장 등 혁신 생산기지들은 현대차의 글로벌 판매 성장을 뒷받침할 근간이다.
이를 위해 무뇨스 사장은 내년부터 2030년까지 5년 동안 77조3000억원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해 혼돈기 속에서도 글로벌 톱 티어 기업으로서 위상을 공고히 해 나갈 계획이다.
무뇨스 사장은 "현대차는 글로벌 판매량 확대 및 생산 거점 확보, 다각화된 포트폴리오, 현지화된 운영체계, 그룹사 시너지 등을 바탕으로 글로벌 자동차그룹 톱3 위치에 올랐다"고 치켜세웠다.
이어 "불확실성의 시기를 다시 마주했으나 이전의 경험처럼 또 한 번 위기를 극복하고 변화를 주도하는 미래 모빌리티 회사로 거듭 날 것"이라고 다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