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청/머니S DB
전남도는 19일 "전남과 무안이 광주 민간 군공항 통합이전의 더 큰 미래를 함께 열어갈 수 있도록 무안군이 대화의 장에 참여해 달라"고 호소했다.

전남도는 이날 도의회 도정질의 답변 이후 추가 발언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의 입장문을 발표했다.


전남도는 "광주 민간·군공항 통합이전과 관련, 오로지 지역발전을 위해 도민과 무안군민의 편에서 늘 한결같은 입장을 지켜왔다"며 "앞으로도 무안군민의 목소리를 최우선으로 6자 TF에서 다함께 힘을 모으겠다"고 밝혔다.

전남도는 2018년 광주·전남·무안이 합의한 민간공항 이전 협약을 2020년 광주시가 파기했을 때 강한 유감 표명과 사과를 요구하고, 2023년 5월에는 무안국제공항 활성화 담화문을 통해 공항이전 당위성과 무안군의 대승적 결단을 호소했다. 같은 해 3조원 규모의 무안 미래지역 발전 비전도 함께 제시한 바 있다.

무안국제공항 활성화에도 여러 노력을 기울여 활주로 연장과 여객청사 확충, 정기노선 지원, KTX 2단계 개통 등에도 역량을 집중해왔다.


전남도는 "지금 우리는 무안국제공항을 진정한 서남권 거점공항으로 키우고, 무안군이 미래발전 혁신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는 천재일우의 기회를 맞았다. '물 들어올 때 노 젓겠다'는 비상한 각오로 힘을 모아야 할 순간"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대통령이 약속한 정부 주도 6자 TF가 곧 출범되는 만큼 정부와 무안군·전남도·광주시가 대화를 통해 해법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무안군이 대화의 장에 참여해 줄 것"을 거듭 촉구했다.

전남도는 "무안군이 제시한 세 가지 조건인 광주 민간공항을 호남고속철도(KTX) 2단계 개통 전까지 무안국제공항으로 선 이전, 광주시의 1조 원 규모 지원 보장, 국가 차원의 획기적 지원책 마련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6자 TF에서 반드시 최우선적으로 논의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전남도는 "지금이 바로 무안군의 미래 발전을 위한 전환점이다. 광주 민간공항과 군공항이 이전된다면 무안국제공항은 명실상부 동북아 관문공항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며 "무안 국가산단·미래 첨단 에어로시티·AI 첨단 농산업 콤플렉스 등 대규모 지역개발 전략과 연계한다면 무안이 서남권의 혁신거점으로 거듭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항상 무안군민의 편에서 무안군과 도민의 목소리를 최우선에 두고 정부·광주시와 끝까지 협의하겠다"며 "이 기회를 함께 살려 지혜를 모아준다면 반드시 그 뜻을 받들어 무안군의 더 큰 도약으로 보답하겠다. 무안의 미래, 그리고 도민의 꿈을 함께 열어가자"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