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은 21일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병역자원 감소 문제를 다룬 언론 보도를 공유하며 "대한민국 군대는 징병 병력 수에 의존하는 인해전술식 과거형 군대가 아니라 유무인 복합체계로 무장한 유능하고 전문화된 스마트 정예 강군으로 재편해야 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감지 판단 조준 사격이 자유로운 AI(인공지능) 전투로봇, 자율 드론, 초정밀 공격 방어 미사일 체계를 구비한 50명이면 100명 아니라 수천수만의 적도 얼마든지 감당할 수 있다"라며 "국군은 북한에 비해 상비군 숫자는 적지만 군복무를 마치고 지금도 훈련 중이며 즉시 전투에 투입가능한 예비병력이 260만"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우리나라 1년 국방비가 북한 국가총생산의 약 1.4배, 세계 군사력 5위인 것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경제력에서 북한의 수십 배에 이르고 인구는 2배가 넘는다"며 "세계가 인정하는 문화강국이자 방위산업 강국"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인구 문제는 심각하고 당장 병력 자원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지만 상비병력 절대 숫자 비교만으로 우리의 국방력을 걱정하실 필요는 없다"며 "경제력과 문화력을 포함한 통합 국력을 키우고 국방비를 늘리고 사기 높은 스마트 강군으로 재편하고 방위산업을 강력히 육성하며 안보 외교 강화로 다자안보협력 체계를 확보해 다시는 침략받지 않는 나라, 의존하지 않는 나라를 만들어 가야겠다"고 했다.
자주국방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중요한 것은 이런 군사력과 국방력, 국력을 가지고도 외국 군대 없으면 자주국방이 불가능한 것처럼 생각하는 일각의 굴종적 사고"라며 "외부의 군사 충돌에 휘말려도 안 되고 우리의 안보가 위협받아서도 안 된다. 강력한 자율적 자주국방이 현 시기 우리의 가장 중요한 과제인 이유"라고 강조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는 국민의 저력을 모아 위기를 기회로 만들며 발전해 왔고 촛불과 응원봉을 들고 최고 권력을 이겨 낸 위대한 국민들"이라며 "'똥별'이라는 과한 표현까지 쓰면서 국방비를 이렇게 많이 쓰는 나라에서 외국군대 없으면 국방을 못 한다는 식의 인식을 질타한 노무현 대통령이 떠오른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