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섭 KT 대표가 최근 발생한 소액결제 피해의 원인으로 지목된 초소형 기지국(펨토셀) 관리 부실을 인정했다. 사진은 김영섭 KT 대표이사가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대규모 해킹사고(통신·금융) 관련 청문회에서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김영섭 KT 대표가 최근 발생한 소액결제 피해의 원인으로 지목된 초소형 기지국(펨토셀) 관리 부실을 인정했다.

김 대표는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펨토셀) 관리가 매우 부실했고 사고 이후에는 망에 접속하지 못하도록 조치했다"고 밝혔다.


이상휘 의원(국민의힘·경북 포항시남구울릉군)은 "이번 소액결제 침해 사태의 근본 원인이 펨토셀 관리 부실"이라며 김 대표에게 책임을 추궁했다.

참고인으로 출석한 이종현 SK텔레콤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는 "SKT는 3개월 동안 사용되지 않는 펨토셀은 삭제해 망에 접속하지 못하도록 조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펨토셀의 유효 인증 기간이 10년으로 설정돼 있다"고 답했고 이에 과방위원장인 최민희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 남양주시갑)은 "10년 동안 관리하지 않았다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