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24일 열린 청문회에서 김영섭 KT 대표를 향해 해킹 은폐 의혹을 집중 추궁했다.사진은 김영섭 KT 대표이사가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대규모 해킹사고(통신·금융) 관련 청문회에 출석해 있는 모습. /사진=뉴스1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김영섭 KT 대표를 향해 해킹 은폐 의혹을 집중 추궁했다. 김 대표는 이날 청문회에서 연임 등 거취 문제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국회 과방위는 24일 오전 KT와 롯데카드를 대상으로 해킹 청문회를 열고 김영섭 KT 대표,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윤종하 MBK파트너스 부회장 등을 증인으로 불렀다.


이날 청문회에서 여야 의원들은 특히 KT의 서버 폐기와 늑장 신고 등을 잇따라 지적하며 은폐 의혹을 제기했다. 한민수 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 강북구을)은 "이번 사태에서 국가기간통신망으로서 KT의 민낯을 확인했다"고 꼬집었다.

이주희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도 "KT의 서버 폐기 과정을 보면 증거인멸로밖에 볼 수 없을 정도로 이상한 점이 한두가지가 아니다"며 "확정보고도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서버 8대 중 6대를 폐기했다"고 비판했다.

황정아 의원(더불어민주당·대전 유성구을)은 "말장난도 한두 번이어야 국민이 속는 척이라도 할 것"이라며 강도 높은 발언을 쏟아냈다.


야당도 공세에 가세했다. 박정훈 의원(국민의힘·서울 송파구갑)은 "KT의 초기 신고 내용이 다섯 번이나 바뀌었다"며 "국민 다수가 (KT의 해명을) 믿지 못하고 있다. 과기정통부가 이를 해소할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최수진 의원(국민의힘·비례)도 "KT는 서버 해킹에 따른 정보 유출 사고를 불법 초소형 기지국 소액결제 사고로 축소·은폐하려 한 정황이 최근 드러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앞서 KT는 소액결제 침해 사고 초기 대응 과정에서 피해 범위를 축소 발표했다가 뒤늦게 설명을 번복해 논란이 됐다. 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해킹 의혹을 통보받고도 관련 서버(원격상담시스템)를 폐기해 비판을 받았다.

정부도 강경 대응 방침을 밝혔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은 "KT의 서버 폐기와 신고 지연에 고의성이 있었는지 확인해 필요하면 경찰 수사 의뢰 등 강력 조치하겠다"며 "KT 해명에만 의존하지 않고 철저히 조사하겠다"고 강조했다.

청문회에서는 김영섭 대표의 거취 책임론도 불거졌다. 황정아 의원은 "최소한 연임에 연연하지 말고 이번 사태에 책임을 지고 물러나겠다고 말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질의했다. 이해민 의원(조국혁신당·비례)도 "KT는 롯데카드보다도 상황이 심각하다"며 "설마 연임을 생각하는 건 아니지 않느냐"고 압박했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지금 그런 말씀을 드리는 건 부적절하다. 우선 이 사태 해결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또 "(해명 과정에서) 부적절하거나 부족한 점은 많았지만 조직적인 은폐 의도는 없었다"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