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MBK파트너스는 사과문을 통해 "대주주로서 부족한 판단과 경영 관리로 홈플러스가 회생 절차에 돌입하게 된 데 대해 "국민 여러분께 큰 걱정과 실망을 끼쳐 드린 점을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홈플러스의 기업 회생은 단순한 재무적 실패가 아니라 국민 일상과 밀접하게 연결된 기업의 대주주로서 저희가 얼마나 무거운 책무를 온전히 다하지 못하였음을 절실히 깨닫게 해줬다"고 했다.
앞서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 기업회생과 관련해 2조5000억원 규모 보통주 무상 소각을 결정하고 설립자의 사재 출연 및 연대보증 등을 포함해 총 3000억원의 재정 지원을 실행한 바 있다. 이에 대해 MBK파트너스는 "국민 여러분께 드린 상처와 실망에 비하면 여전히 부족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추가로 사회적 책임 이행 방안을 발표했다.
MBK파트너스는 인가 전 M&A(인수합병) 과정에서 인수인의 자금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향후 발생할 MBK파트너스의 운영수익 중 일부를 활용해 최대 2000억원을 홈플러스에 증여하겠다고 밝혔다. 기존 3000억원의 재정 지원에 2000억원 추가 증여가 더해지면 이는 기업 회생이나 워크아웃 사례 가운데 대주주가 해당 기업의 정상화를 위해 투입한 역대 최대 규모 자금 지원이다.
국민연금이 보유한 상환전환우선주도 투자 원금 회수가 가능하도록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 또 공공정책과 산업 현장을 경험한 외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MBK 파트너스 사회적 책임 위원회'를 설립해 향후 투자활동에 관해 외부 전문가의 감시와 조언을 받을 계획이다.
홈플러스의 사회적 의미도 재차 언급했다.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는 수많은 근로자의 삶의 터전이자 협력업체와 지역사회의 기반이며 민생 경제의 중요한 한 축"이라며 "홈플러스 2만명 임직원과 8만명 협력업체 직원의 생계를 지켜내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앞으로의 모든 투자 활동이 '사회적 책임'이라는 원칙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며 외부 전문가의 감시와 조언을 겸허히 받아들여 국민과 투자자께 더욱 투명하게 다가서고 책임을 다하는 자세로 겸손하게 임하겠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 다시 한번 깊이 사과드리며 끝까지 책임을 다하고 진정으로 변화하는 글로벌 운용사로 거듭나겠다"고 약속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