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김용범 정책실장이 24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의 한 호텔 한국 프레스센터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 면담 관련 브리핑을 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대통령실은 난항을 겪는 한미 관세 후속 협상에 대해 '국익 최우선' 원칙하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기간 한미 정상회담을 염두에 두고 협상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쌀·소고기 추가 개방에 대해서는 논의 불가 입장을 고수 중이다.

24일(이하 현지 시각) 뉴스1에 따르면 이날 오후 김 정책실장은 미국 뉴욕 유엔총회 취재기자단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통해 "데드라인을 따로 두고 있지는 않다"며 "상업적 합리성에 맞고 우리나라가 감내할 수 있고 국익에 부합하고 한미 간에 상호호혜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안이어야 한다는 원칙을 갖고 협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정책실장은 "협상 시한 때문에 우리가 그런 원칙을 희생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다음에 중요한 계기가 경주 APEC이고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할 것이고 양국 정상 간 당연한 미팅이나 면담이 있을 것이다. 협상팀에선 그러한 국제행사가 중요한 계기다. 그것도 염두에 두면서 협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3500만 달러 대미 투자펀드 세부안 이견과 관련해서는 "당초 지난 7월31일 합의 때는 3500억 달러 세일링 리미트로 이해했고 통상적 국제 투자나 상례에 비춰볼 때 론(대출)이나 개런티(지급보증) 이런 부분은 투자로 예상했다"며 "소위 비망록이라 말하는 초기 언더스탠딩에 적어놨고 미국이 그 이후에 MOU라고 보낸 문서에는 그런 내용과는 판이한 내용이 있었다"고 전했다.

김 정책실장은 '통화 스와프'를 공개 요구하기도 했다. 그는 "우리나라 외환시장에 미칠 충격이 당연히 눈에 들어왔고 그 사항을 우리가 미국에 지적하고 있는 것"이라며 "무제한 통화 스와프의 경우 미국이 만약 캐시 플로우를 주장한다면 필요조건이다. 그게 안 되면 우리나라에 미칠 충격이 너무 크기 때문에 그 문제가 해결안 되면 그다음부터 나아갈 수 없는 필요조건"이라고 주장했다.


김 정책실장은 이날 이재명 대통령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의 면담 후 협상이 급물을 탈 가능성도 제기했다. 그는 "외환시장에 관한 문제의 주무장관인 베선트 장관에게 대통령께서 직접 그 포인트를 상세히 설명했기 때문에 이후 3500억 달러 투자 패키지 협상 과정에서 중대한 분수령이라 본다"며 "오늘 접견이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끝으로 김 정책실장은 쌀·소고기 시장 개방 압박에 대해 "우리 레드라인이라고 말하는 쌀과 소고기 부분에 대한 논의 자체를 깊게 할 수 없다는 쪽을 분명히 하고 있다"며 "무역 분야 비관세 장벽에 실질적 진전에도 그 내용을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