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신한금융그룹에 따르면 국정자원 화재에 따른 정부기관 서비스 중단 사태와 관련해 그룹 위기대응 체계를 즉시 가동하고 은행 등 주요 그룹사와 대응방안을 논의 중이다.
전날에는 그룹 리스크 부문장(CRO) 주재 회의를 열고 은행·카드·증권·저축은행 등 주요 그룹사와 함께 대응 상황 점검 체계를 구축했다.
주민등록증 관련 비대면 실명인증과 신분증 진위확인 등 정부기관 중단 업무 내용을 주요 그룹사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지도 했다. 모바일 운전면허증 등 대체 인증 수단·이용 서비스 현황도 안내하고 있다.
29일에는 각 그룹사의 영업점 업무 개시 이후 영업점과 콜센터에서 화재 사고로 처리하지 못한 고객 업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사전 응대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신한금융은 일부 금융거래 프로세스 장애로 전체 업무가 중단되는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 전산 장애 발생 시 신속하게 시스템을 분리·대체 운영할 수 있도록 전체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KB금융그룹도 이번 화재에 따른 본인인증, 공공마이데이터 등 장애와 관련해 실시간 현황을 점검 중이다. 지난 26일 사태 이후 양종희 KB금융 회장을 포함한 비대면 비상대응회의체를 가동 중이다.
은행·증권·손해보험·카드·캐피탈 등 각 계열사들은 IT(정보기술)부문 위기대응 매뉴얼에 따라 전산센터, 인프라, 금융서비스를 점검했다.
하나금융그룹도 지난 27일 그룹 CRO 주재 회의를 소집해 그룹의 전 관계사의 영향도를 파악하고 금융 서비스 안정화를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대응 체계 구축에 나섰다.
그룹 ICT(정보통신기술) 부문에서는 이번 화재로 손님 불편이 예상되는 항목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중요 전산 체크 리스트를 선정, 하나은행·하나증권·하나카드 등 각 관계사에 배포했다.
우리금융그룹도 화재 직후 그룹 위기대응협의회를 중심으로 매뉴얼에 따라 시스템 영향도를 점검하고 고객 안내 및 대체 수단 등을 마련했다.
우리금융그룹은 전산 복구가 지연될 경우에 대비해 영업점 중심의 보완 절차와 긴급 전산 개발 준비를 마쳤다. 29일 영업 개시 전에도 회의를 통해 고객 서비스 현황을 다시 점검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