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항공 수송에 비상이 걸렸다. 사진은 2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지부 회원들이 파업하던 인천공항 제1터미널 모습. /사진=뉴스1
추석 연휴를 앞두고 전국 15개 공항(인천·김포 포함) 자회사 노동자 1만5000명이 총파업에 돌입했다. 최장 10일까지 이어지는 연휴 동안 526만명 이용객들의 불편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일 전국공항노동자연대(민주노총 인천공항지역지부·전국공항노동조합) 주도로 시작된 파업은 추석 연휴 내내 이어질 전망이다. 사측과 노조 간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장기화가 불가피하다.


이번 파업에는 양대 공항공사 자회사에 근무하는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참여했다. 노조는 ▲현행 3조2교대에서 4조2교대로의 전환 ▲노동시간 단축·인력 충원 ▲모회사와 자회사 간 불공정 계약 구조 개선 등을 요구사항으로 내세웠다.

파업 참여 직군은 활주로·소방·전기·시설 관리 등 자회사 인력이 대부분이다. 필수 유지업무인 보안검색과 항공보안 경비 등은 제외돼 항공편 운항 자체가 중단되지는 않는다. 주차장 혼잡·청사 청결 등 이용객 편의와 직결되는 부분에서는 불편이 불가피하다. 공항 당국은 연휴 기간 이용객들에게 탑승 3시간 전 공항 도착을 권고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비상대응 체제를 가동했다. 출국장 엑스레이 검색 장비를 기존 10대에서 17대로 확대하고, 보안검색요원 119명을 추가 배치했다. 또 출국장을 오전 5시부터 조기 개방해 혼잡을 분산시키고 대체 인력을 투입해 서비스 공백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더 큰 문제는 리더십 위기다. 윤석열 정부 시절 임명된 인사가 사장직을 맡고 있어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교체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이어서 노사간 대화에 소극적이란 관측이다.


한국공항공사도 임시 주차 공간 6000면을 확보하고 출국심사대와 체크인 카운터를 평소보다 일찍 운영하며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모회사로서 자회사와 수의계약을 체결하면서 인건비 전액이 아닌 낙찰률을 적용해 92%만 지급하는 관행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노조는 이를 갑질 계약이라 규정하며 시정을 요구한다. 지난해 4월 사장이 물러난 뒤 1년 5개월째 공석 상태가 이어지면서 노조와 직접 대화할 수 있는 공식 창구도 없다.

연휴 기간 공항에는 역대 최대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일부터 10일까지 526만명이 항공기를 이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하루 평균 52만명에 달하는 규모다. 보안 검색이나 탑승 수속 지연뿐 아니라 공항 내 혼잡과 편의시설 이용 제한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이번 파업을 단순한 임금이나 인력 갈등으로 볼 것이 아니라 구조 전반의 문제라고 지적한다. 잦은 낙하산 인사와 경영 공백 속에서 노동환경 개선이 병행되지 않는다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위기는 불가피하다는 경고다.

강경우 한양대 교통물류학과 교수는 "전국 공항 대부분이 만성적 적자 구조에 놓여 있다"며 "자회사 인건비 절감과 저가 입찰 관행이 이어지면서 노동자 불만이 누적돼왔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이번 파업은 단순한 임금 인상 요구가 아니라 교대제 개선 등 구조적 개혁을 요구하는 성격이 강하다"며 "임금 갈등으로만 보는 것은 현실을 오해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