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뉴스1에 따르면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외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 기준 외교부는 2024~2025년에 주캄보디아대사관에 경찰 주재관 추가 배치를 요청했으나 행안부는 승인하지 않았다.
외교부는 "재외국민 보호 역량 강화를 위해 경찰청 등과 협의해 소요 정원을 제출했으나 반영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현재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에는 경찰 주재관 1명과 협력관 2명 등 경찰 인력이 총 3명 근무 중이다. 현지에서 발생하는 한국인 대상 납치·감금·사기 등 범죄가 급증하면서 이 인원만으로는 사건·사고 대응과 수사 공조를 병행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외교부 자료 기준 캄보디아 내 우리 국민 피해는 2023년 134건에서 2024년 348건으로 늘었다. 특히 2025년 상반기에만 303건으로 급증했다. 납치·감금 피해는 2023년 21건에서 2024년 221건으로 10배 이상 급증했고 올해 상반기에 213건을 넘어섰다. 피해 유형은 대부분 고수익 취업을 미끼로 한 온라인 사기 조직 감금·폭행 사례로 피해자들이 불법 행위에 동원되는 경우도 있었다.
정부는 현지 경찰과의 공조 강화와 피해 신고 절차 간소화 등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쿠언 폰러타낙 주한캄보디아대사를 초치해 항의하고, 수도 프놈펜 지역의 여행경보를 '특별여행주의보'(2.5단계)로 상향 조정했다.
경찰청도 캄보디아 내 한국인 대상 범죄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 공조 역량을 총동원했다. 경찰청은 오는 23일 개최되는 국제경찰청장 회의에서 캄보디아와의 양자 회담을 열어 코리안데스크 설치와 경찰 추가 파견을 논의하고 현지에서 부검, 수사 공조 강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