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은 교육부와 지방시대위원회가 지난해 처음 도입한 제도로 공교육 혁신을 통해 지역 인재를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지역 정주 여건을 개선해 인구 감소와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광주는 2023년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선정돼 2026년까지 매년 최대 110억원의 특별교부금을 지원받게 된다.
현재 전국적으로 광주를 비롯해 56개 특구(광역지자체 7곳, 기초지자체 83곳)가 운영 중이다. 광주시교육청은 광주시와 협력해 △공교육 혁신을 통한 맞춤형 인재 양성 △지역특화산업과 연계한 취·창업 지원 강화 △'광주형 AI 인재성장사다리' 기반의 디지털 인재 양성 △돌봄 확충 및 정주 여건 개선을 통한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조성 등을 추진해 왔다.
이 같은 노력이 인정돼 광주교육발전특구는 지난 3월 '시범지역 운영 성과평가'에서 우수지역으로 선정된 데 이어 이번 성과관리 평가에서도 최고등급을 받아 본 지정에 한 걸음 다가섰다.
특히 광주시교육청은 총괄조직인 '기획조정팀'을 신설하고 시민협치진흥원 개원 및 교육협력관 파견 등 체계적인 협력 기반을 구축한 점에서 전국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번 성과로 광주교육발전특구는 교육부로부터 최대 10억원의 추가 사업비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2025년도 총사업비는 120억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정선 광주교육감은 "광주교육발전특구가 시범 운영 1년여 만에 최고등급을 받은 것은 교육가족과 광주시, 자치구, 대학, 유관기관이 함께 노력한 결과"라며 "광주가 인재를 키우고 인재가 다시 광주를 성장시키는 선순환 미래교육 모델을 완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