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14일 서울 서대문구 한국공인회계사협회에서 진행된 금융감독원장-회계법인 CEO 간담회. /사진=염윤경 기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국내 주요 회계법인 최고경영자(CEO)들과 만나 '감사 품질 중심 시장 질서의 정착'을 당부했다. CEO들은 이 원장에게 감사 품질 중심 평가 체계 도입과 디지털 감사 기술 도입을 위한 지원 등을 요청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찬진 금융감독원장과 최운열 한국공인회계사회 회장, 주요 회계법인 대표 등 12개 법인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찬진 금감원장은 14일 서울 서대문구 한국공인회계사회 회관에서열린 '금융감독원장-회계법인 CEO 간담회'에 참석, CEO들에게 "보수 위주의 과도한 경쟁은 감사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며 "감사위험에 상응하는 인력과 시간을 충분히 투입하고 내부 평가와 보상 체계도 품질 중심으로 개편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금감원은 감사 품질 관리 수준에 따라 감리주기를 차등화하고 품질이 우수한 회계법인이 감사인 지정에서 유리하도록 제도 개선을 추진할 방침이다. 회계법인이 실효성 있는 경영진 견제 기구를 갖추고 네트워크 회계법인의 비감사용역으로 독립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회계법인 지배구조 공시항목을 확대하고 비감사용역 공시 대상을 네트워크 회계법인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이 원장은 고의적 회계 부정이 늘고 있는 점도 지적하며 분식회계에 가담하거나 묵인·방조한 회계법인에는 엄정한 제재를 가할 것이라고도 경고했다. 아울러 금감원은 고의·장기 회계부정에 대한 과징금 부과율을 상향하고 경미한 위반이 다수 발생할 경우 내부회계감사 강화 등 제도 개편을 추진 중이라고 했다.
회계법인 CEO들은 회계 투명성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진=염윤경 기자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회계법인 CEO들은 "감사 품질 향상을 위한 투자와 노력을 지속해 회계 투명성 강화에 기여하겠다"며 감사 품질 제고와 디지털 감사 혁신을 위해 적극 협력하겠다고 입을 모았다.

이를 위해 금융당국의 충분한 지원을 요구했다. 업계는 특히 감사 품질 중심 평가 체계 도입, 감사 보수 현실화, 감사인 지정의 예측 가능성 확보 등을 주요 개선 과제로 제시했다.


디지털 감사 기술 도입에 대한 지원도 요청했다. 이 원장도 디지털 감사 환경 전환에 대응해야 하는 것에 공감대를 형성하며 금감원은 디지털 감사 기술 도입 지원 TF를 통해 감독·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했다. 아울러 한국공인회계사회 등과 협력해 감사기준 개정 등 제도적 기반을 정비할 예정이다.

이 원장은 "회계법인은 전문성과 윤리의식을 바탕으로 투명한 자본시장의 든든한 버팀목이 돼 달라"며 "금감원은 회계업계의 건전한 경쟁과 혁신을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했다. "오늘 논의된 건의 사항을 향후 회계 감독 업무에 적극 반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