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최대 주주인 MBK파트너스가 지난 3월 기업회생 신청의 불가피성을 주장하며 내세웠던 '갑작스러운 신용등급 하락' 해명이 국회 국정감사에서 사실과 다르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사진은 지난 13일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질의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홈플러스 최대 주주인 MBK파트너스가 지난 3월 기업회생 신청의 불가피성을 주장하며 내세웠던 '갑작스러운 신용등급 하락' 해명이 국회 국정감사에서 사실과 다르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민병덕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 안양시 동안구갑)은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김병주 MBK 회장과 김광일 부회장에게 "지난 3월 김광일 부회장이 기자간담회 및 국회 현안 질의에서 '갑작스러운 신용등급 하락 때문에 회생 절차가 불가피했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강하게 지적했다.


민병덕 의원실이 확보한 홈플러스 임원의 녹취록에 따르면 MBK는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신청 시점인 지난 3월4일보다 이전인 지난해 5~6월부터 이미 자금 사정이 악화돼 협력업체 대금을 제때 지급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심지어 이자율을 8%에서 15%까지 제시하며 자금을 조달하려 했으며 임대 매장 리스료 지급에 자금을 전용하는 등 유동성 문제가 심각했던 정황이 포착됐다.

특히 홈플러스가 회생을 신청하기 직전인 지난 2월4일, 7일, 10일, 25일에도 전자단기채권(전단채)을 발행한 정황이 드러났다. 민 의원은 이 같은 행태에 대해 "이는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와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가 적용될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투자자들에게 손실 위험을 제대로 고지하지 않았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날 국감에서는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할 때부터 유통 경쟁력 제고보다는 부동산 자산 매각을 통한 단기 이익 실현에 초점을 맞췄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의원실이 확보한 국민연금공단 내부 문건에 따르면 MBK는 인수 전부터 "세일즈앤리스백(SLB)을 통한 현금 유입을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으며 실제로 2017년부터 기존 점포 89개 중 7개를 처분하고 170억원의 이익을 챙기겠다는 계획이 포함돼 있었다. 세일스앤리스백은 기업이 보유한 자산을 매각한 뒤 그 자산을 다시 임차하는 금융 거래 방식이다.


민 의원은 "홈플러스 매장 매각 이후 임차료 부담이 급증하면서 기업 가치 하락이 나타났다"며 "MBK는 대주주로서 자구 노력이나 사재 투입 없이 회생 절차에 넘겨 경영 책임을 포기했다. 이는 홈플러스 노동자, 입점 점주, 협력업체, 소비자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한편 민 의원은 국감에 참석한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관계자들에게 MBK에 대한 적극적인 제재를 주문하며 사모펀드의 불투명한 경영 관행에 대한 강력한 감독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