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 제조기업 2275개사를 대상으로 '2025년 기업 경영실적 전망 및 애로요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기업의 75.0%가 올해 영업이익이 연초 설정한 목표수준에 미달할 것으로 전망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목표치 미달'에 응답한 기업 비중(74.0%)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영업이익 실적이 올해 목표치 수준에 부합할 것으로 응답한 기업은 20.4%였으며 목표치를 초과 달성할 것으로 답한 기업은 4.6%에 불과했다.
영업이익 실적이 목표치에 못 미치는 기업이 늘면서 영업수지 전망도 적신호가 켜졌다. 올해 영업이익 적자를 예상한 기업은 32.1%로, 흑자를 예상한 기업(27.0%)보다 많았다. 또한 지난해 흑자에서 올해 적자로 돌아선 기업 비중은 7.1%로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했다고 응답한 기업(3.1%)의 두 배를 넘었다.
올해 제조기업들은 힘든 시장상황을 겪고 있다. 내수는 소비 회복이 지연되고 건설경기 침체도 이어지며 내수여건이 좀처럼 개선되지 못했다. 수출 또한 반도체를 제외하면 1~9월 누적 수출이 전년 대비 1.5% 감소해 회복세로 보기는 이르다는 평가다.
시장 상황이 부진한 가운데 비용 측면에서 수익성을 악화시킨 요인들도 많았다. 기업 경영상 비용 측면에서 겪고 있는 가장 큰 애로사항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 제조기업들은 '원자재가 상승'(42.5%)과 '인건비 상승'(30.4%)을 가장 많이 꼽았다. '관세 증가'(8.9%), '이자 등 금융비용'(8.0%)이 뒤를 이었다.
지역의 경기 상황을 묻는 질문에는 '악화됐다'(49.4%)는 응답이 '변화없다'(40.9%)는 응답보다 높아 경기부진이 지속되면서 경제 전반에 활력이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정기국회의 본격적인 입법논의를 앞둔 상황에서 제조기업들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법인세 인상 등 기업비용 증가(50.5%)'였다. 기업의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는데 추가적인 비용부담은 신중해야한다는 목소리이다.
상법·공정거래법 등과 같은 '기업제도 규제'가 더욱 강화되는 것을 우려하는 기업도 40.6%로 많았으며, '노사관계 부담 증대'(38.6%)를 우려사항으로 꼽은 기업도 적지 않았다. 이밖에도 '입지규제와 환경규제 강화'(21.6%), '정년연장 등 고용부담 가중'(13.5%) 등을 걱정하는 답변도 있었다.
상의는 기업실적 기대가 떨어지는 상황에서 기업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과 입법 지원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법인세 인상, 포괄임금제 금지, 자사주 소각 의무화, 의무공개매수제 도입 등 기업 부담을 가중시키는 입법을 신중히 고민하고 기업규제를 확대하기보다는 경영 불확실성 완화를 우선시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반도체 등 첨단산업은 생산세액공제, 직접보조금 지급 등 과감한 정책으로 지원하고, 철강·석유화학 등 위기산업은 특별법 통해 기간산업의 경쟁력 회복을 뒷받침하는 등 산업별 특성에 맞는 투트랙 산업 지원 전략도 필요하다고도 밝혔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경영환경이 전방위적으로 악화되고 경기전망 기대감도 바닥에 떨어진 지금이야말로 국회와 정부가 입법을 통해 우리 기업들에게 힘을 불어넣어야 할 적기"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