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BNK금융 회장선임 절차와 관련해 "회장 선임 내용조차 직원들 사이에 쉬쉬하며 깜깜이로, 절차의 정당성 상관없이 했다"고 지적하자 "절차적으로 특이한 면들이 많이 보여서 계속 챙겨보고 있다"고 밝혔다.
BNK금융 이사회는 지난 1일 차기 회장 선임을 위한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지난 16일까지 후보군 접수를 마감했다. 추석연휴 기간인 12일을 빼면 영업일 기준 후보등록 접수 가능 기간은 4일에 불과하다.
박 의원은 "지난번에는 BNK금융 회장 선임에 약 2개월간 절차를 진행했는데 4일 정도의 기간 동안 이사회 결의를 통해 차기 회장 후보군을 접수했다"며 절차적인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 원장은 "이 사안은 현재 상황으로 보면 내부적으로 형식적 절차에 접법성이 있을지 모르겠는데, 문제 있는 소지가 있으면 수시검사를 통해서 문제점을 바로 잡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연임이나 3연임에 도전하는 금융지주 회장 선임 절차에 제도개선을 예고했다. 금융지주 지배구조 모범관행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각 금융지주는 최고 경영자 선임에 ▲CEO 경영승계 절차 체계화 ▲이사회 집합적 정합성 제고 ▲사외이사 평가체계의 객관성 강화 ▲사외이사 지원체계 확립 ▲감독당국·사외이사 간담회 정례화 등을 도입해야 한다.
금융지주 회장에 '셀프연임', '황제연임' 등 논란이 끊이질 않자 금감원이 지난 2023년 12월 지배구조 모범관행을 발표한 것이다. 올 연말에는 빈대인 BNK금융 회장을 비롯해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이 연임에 도전한다.
금융권에서는 이 원장이 연말 주요 금융지주 회장의 연임을 앞두고 금융회사 지배구조 문제를 정면으로 다룰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 원장은 취임사에서도 '거버넌스'(지배구조)를 언급한 바 있다.
이 원장은 "지주회사 회장이 되면 일종의 이사회를 자기 사람으로 참호를 구축하는 분들이 보인다"며 "오너가 있는 제조업체나 상장법인과 별다를게 없다. 고도의 금융 공공성이 훼손될수 있어 이런 부분을 예의주시하면서 필요시 제도 개선 관련해 (국회에) 상의를 드릴 기회가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