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장을 맡은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자신의 딸 결혼식 관련 논란을 적극 해명했다. 사진은 지난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정감사에 참여한 최 의원의 모습. /사진=뉴시스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장을 맡은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정감사 중 치러진 결혼식 관련 논란에 대해 해명했다.

지난 30일 뉴시스에 따르면 최 의원은 이날 오후 11시쯤 열린 과방위 종합 국정감사 도중 "딸이 결혼식을 두 번 했다는 주장은 터무니없는 이야기"라며 "지난해 8월 양가 부모와 합의로 혼인신고를 먼저 하고 준비 중인 시험과 원서접수 일정 등을 고려해 지난 9월 내지는 10월에 결혼식을 하려고 준비해왔다"고 해명했다.


사랑재 예약에 특권을 행사했다는 의혹에 대해선 "지난해 8월경부터 예약을 하기 위해 서류를 준비하고 제 아이디로 절차에 따라 신청 절차를 밟아 대기하고 클릭했다"며 "사랑재에 기예약자의 취소가 생겨 신청 경쟁을 거쳐 확정받았다. 제 아이디로 신청했다고 해서 제가 직접 클릭 경쟁에 뛰어들었다고 추측하는 건 저로서는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답했다.

유관기관에 청첩장을 보내며 화환을 요구했다는 의혹에 대해선 "저는 유관기관에 청첩장을 보낸 사실이 없다"며 "국감에서도 모든 기관이 청첩장을 받은 적 없다고 답변했는데 청첩장을 보내고 화환까지 요청했다고 주장하느냐"고 반박했다. 이어 "특히 방통위의 경우 확실한 답변으로 화환을 요청하지 않았다는 게 밝혀져서 다행이라고 생각한다"며 "과방위 행정실에 청첩장을 준 건 같이 일하는 동료에게 위원장 집의 혼사를 알리고 시간 되면 밥 한 끼 먹으러 오라는 것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딸 모바일 청첩장에 카드결제 기능이 있었던 것에 대해선 "청첩장에 의도적으로 카드결제 기능을 넣었다는 것도 사실이 아니다"라며 "청첩장 준비는 결혼 당사자들이 하는 게 일반적이고 저는 엄마와 아빠의 계좌번호만 빼라는 의사만 전달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양식은 업체로부터 받은 것인데 주의 깊게 보지 않고 카드결제 항목이 들어간 걸 나중에 딸이 인지하게 됐다고 한다"며 "기사를 통해 논란이 된 후 이 부분에 대해 인지한 딸이 즉시 카드결제 항목을 뺐다고 한다. 카드결제로 입금된 축의금은 한 푼도 없었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최 의원은 "여러 지적을 돌이켜보면 혼인당사자의 계획에 따라 가을이 적합하다고 하더라도 여타 논란이 생길 것을 예측하고 장소나 일정, 부조, 화환을 막는 데 좀 더 적극적인 사전조리를 해야 했었는데 왜 그러지 못했을까 많이 자책했다"며 "국민 여러분께 그리고 특히 민주당 의원님들께 죄송하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논란이 아예 생기지 않도록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더 신중히 일을 처리하도록 하겠다"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