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2030세대 사이에 이색적인 절약 방법이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중국 2030세대 사이에서 극단적인 절약 열풍이 불고 있다.

지난 29일(현지시각)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최근 중국 온라인커뮤니티 절약남자협회에 올라온 '하루 세끼를 밀웜으로 해결한다'는 게시물이 폭발적인 관심을 받았다.


작성자 A씨는 밀웜 식단을 소개하며 "닭가슴살보다 싸고 단백질 함량이 20%나 된다"며 "1㎏에 12위안(약 2400원)밖에 안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벌레를 찐 뒤 갈아 고기 패티처럼 만들어 먹거나 만두 속 재료로 활용한다"며 "하루 세 끼를 먹고도 절반이 남는다. 하루 식비가 3위안(약 600원) 정도"라고 설명했다. 심지어 "밤에 통 안에 벌레가 기어 다니는 소리가 자장가처럼 들려 잠도 잘 온다"는 충격적인 후기도 남겼다.

해당 협회는 회원 수 24만명을 돌파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회원들은 스스로를 절약 스타라고 부르며 기상천외한 절약법을 공유하고 있다. 한 회원은 "달걀 한 개를 풀어 얼음 틀에 넣어 얼리면 한 알로 세끼를 해결할 수 있고 닭 껍질과 뼈로 국물을 내 마지막 한 방울의 기름까지 볶음밥에 재활용한다"고 소개했다. 또 다른 회원은 "전기요금을 아끼기 위해 여름엔 찬물 샤워와 냉방 대신 바닥 수면을 택하고 겨울에는 온돌식 난방이 되는 집의 아래층 세입을 추천한다"고 밝혔다.

외신 등은 이런 극단적 절약 열풍에 대해 "코로나19 이후 고용 불안과 경기 침체로 인해 탈 경쟁 흐름이 확산하면서 젊은 세대가 새로운 생존 전략을 택하고 있다"면서 "이들은 단순히 돈을 아끼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압박에서 벗어나기 위한 문화를 실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중국 내에선 '무소비 챌린지' '한 달간 0원 지출' 등이 유행으로 자리매김했다. 이에 대해 매체는 "불황 시대의 새로운 자립 방식이지만 청춘들의 낭만이 사라져가는 세대가 되고 있다"는 견해를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