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협의회는 성명을 통해 재정 부담이 기초지자체로 전가되는 구조가 지속될 경우 주민 생활과 직결된 사업들이 대거 중단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고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협의회는 특히 경기도가 도지사 공약사업을 포함한 각종 시책사업에서 경기도 분담 비율을 하향하고, 시·군에 최대 20%까지 추가 분담을 요구하고 있는 점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미 취약한 재정 상황에 놓인 시·군으로서는 더 이상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경기도 31개 시·군은 분담률 인상으로 인해 경기도의 재정 축소분만큼 자체 사업량을 줄일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이에 따라 도와 시·군이 공동 추진해 온 △지역개발 △복지 △공공인프라 사업은 중단되거나 대폭 축소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특히 주민 생활과 직결된 보건, 환경, 교육 등 핵심 사업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크다.
경기도시장군수협의회는 "경기도가 재정 부담을 시·군에 전가하는 구조가 지속된다면, 각 시·군은 필연적으로 사업을 축소하거나 중단할 수밖에 없으며, 그 피해는 고스란히 도민에게 돌아가게 된다"며 "기초지자체의 책임만 강조하는 정책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이어 "경기도는 시·군과의 협의를 통해 분담 비율을 기존 수준으로 회복해, 기존 사업들이 정상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