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5개월 연속 늘어나면서 4300억달러에 육박했다./사진=뉴스1
올해 10월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4288억달러를 넘어서며 홍콩을 제치고 세계 9위에 올라섰다.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288억 2000만달러로 전월 말(4220억 2000만 달러)보다 68억달러 늘었다. 외환보유액은 지난 5월 4046억달러로 최근 5년 사이 최저치를 기록한 이후, 6월 4100억 달러 선을 회복하며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세부 항목별로 보면 지난달 외환보유액은 유가증권이 3779억 6000만 달러로 전체의 88.1%를 차지했다. 지난 9월(3784억 2000만 달러)과 비교하면 보유액이 4억 6000만 달러 줄었다.


예치금은 259억 4000만 달러로 전월(185억 4000만 달러) 대비 74억 달러 증가했다. 전체 외환보유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0%다.

이외 특별인출권(SDR)은 157억 1000만 달러로 전월(157억 8000만 달러) 대비 7000만달러 줄며 3.7%의 비중을 차지했다. 금은 47억 9000만달러로 1.1%의 비중을 보였으며 보유액은 9월과 같았다. 1% 비중을 차지한 국제통화기금(IMF) 포지션은 44억 1000만달러를 기록해 전월(44억 9000만달러) 대비 8000만달러 감소했다.

지난 9월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세계 9위 수준으로 한 단계 오르며 홍콩을 제쳤다.


1위는 중국(3조3387억달러), 2위 일본(1조3413억달러), 3위 스위스(1조 545억달러), 4위 러시아(7133억달러), 5위 인도(7001억달러) 순이었다.

이어서 대만(6029억달러), 독일(5110억달러), 사우디아라비아(4505억달러), 한국(4220억달러), 홍콩(4191억달러)이 뒤를 이었다.

한은은 이번 증가 원인에 대해 "운용수익 증가와 외화 외평채 신규 발행 등에 주로 기인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