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청사 전경. /사진제공=하남시
하남 교산신도시를 명품 '직주락(職住樂) 도시'로 완성하기 위한 핵심 퍼즐이 맞춰졌다.
'공업지역 물량 제로(0)'라는 절대적 한계에 부딪혔던 교산신도시 일자리 확보 사업이, 하남시의 '역발상 전략'을 통해 극적인 돌파구를 찾은 것이다.

6일 시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수도권정비실무위원회는 하남미사(2단계) 공공주택지구에서 공업지역 4만2285㎡를 해제하고 이를 하남교산 공공주택지구에 지정하는 내용의 '공업지역 위치 변경 계획' 안건을 심의한 뒤 원안 의결했다.


그동안 교산신도시는 정부의 '일자리 도시' 기조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에 묶여 신규 공업지역을 단 한 평도 배정받지 못했다. 이는 일자리(職)를 위한 공장, R&D센터 등 기업 시설 유치 기반이 없어 '직주락 도시' 실현에 치명적인 문제였다.

시는 '신규 배정 불가능'을 '기존 자원 재배치'로 정면 돌파하는 전략적 결단을 내렸다.

시는 관내 전수조사를 통해 하남미사 지구 내 하천과 공원으로 지정되어 활용이 불가능한 '유휴 공업지역' 4만2285㎡를 발굴했다. 이번 심의 통과로 이 '잠자던 물량'을 기업 유치가 절실한 교산신도시로 이전시키는 것이 최종 확정됐다. 기존 제조업소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


이현재 하남시장은 "이번 성과는 정부의 물량 배정이 어려운 경직된 상황을 '적극 행정'으로 정면 돌파한 값진 결실"이라며 "이를 통해 '직주락 명품도시 교산'을 실현할 핵심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어 "하남시의 계획 실현에 협조해 준 경기도와 국토교통부에 감사하다"며 "앞으로 기업이 먼저 찾아오는 경쟁력 있는 하남시를 만들기 위해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