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대한상의 SGI는 '전력수요 증가와 전력산업 생산성 향상 효과 분석' 보고서를 통해 "전기요금 급등으로 산업계의 전력비 부담이 크게 늘어나면서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수익성과 수출 경쟁력에 부정적 영향이 확대되고 있다"며 "공급 인프라와 제도적 유연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전력비용 상승 등 기업 부담이 커질 수 있어, 전력시장 제도 개선과 기술혁신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전력 소비는 2010년 이후 연평균 약 1.7% 증가해왔다. 다만 지난 3월 정부가 발표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0년대까지 약 2% 수준의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SGI는 "공급 능력이 충분히 확대되지 못하면 전력수요가 2% 늘어날 때 전력가격은 일반 물가 대비 약 0.8%포인트 추가 상승하고, 국내총생산(GDP)은 0.01%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력가격 상승은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전력집약적 첨단산업의 생산액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경원 대한상의 SGI 연구위원은 "전력가격 상승이 산업별 생산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업종별 투입구조 차이로 인해 다르다"며 "제조원가에서 전력비 비중이 높고, 다른 에너지원으로의 대체가 어려운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전력집약산업은 생산비 부담이 커져 생산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박양수 대한상의 SGI 원장은 "APEC 등을 계기로 AI 기반 경제 재도약의 기회를 잡은 것으로 보인다"며 "AI 기반 성장에 필수적인 에너지 공급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작동해 기업들의 전력비용 부담이 완화되도록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