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국정원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최민희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정원은 "KT의 일부 스마트폰 기종에서 문자 암호화가 해제될 수 있다"는 제보를 입수한 뒤 사실관계를 검증했다. 그 결과 문자 통신이 '종단 간 암호화(End-to-End Encryption)' 방식으로 보호되지 않아 중간 서버에서 복호화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통사들은 국제표준화기구(ISO)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권고에 따라 송신부터 수신까지 중간 서버가 내용을 복기할 수 없도록 종단 암호화를 적용한다. 그러나 검증 결과 KT 일부 단말기에서 보안 체계가 무력화된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민간 합동으로 구성된 KT 해킹 조사단은 국정원의 통보를 바탕으로 "일부 단말기의 문제인지, KT 전체 가입자망에서도 동일 현상이 재현될 수 있는지"를 추가로 조사하고 있다.
최민희 의원은 KT 경영진의 책임을 끝까지 묻겠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