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 1~3분기 5대 제약사의 R&D 투자 비용은 ▲한미약품(1691억원) ▲유한양행(1596억원) ▲대웅제약(1592억원) ▲종근당(1265억원) ▲GC녹십자(1226억원) 순으로 많다.
전년 동기 대비 한미약품과 종근당의 순위가 각각 두 계단, 한 계단씩 오르고 유한양행·대웅제약·GC녹십자는 한 계단씩 내렸다. 각 사의 지난해 1~3분기 R&D 투자 비용은 유한양행(2011억원), 대웅제약(1713억원), 한미약품(1537억원), GC녹십자(1207억원), 종근당(1049억원) 등의 순이었다.
매출 대비 R&D 투자 비율은 비교적 변화가 적었다. 대웅제약(18.3→ 15.4%)과 한미약품(13.4→ 15.2%)이 각각 올 1~3분기 1·2위를 기록, 전년 동기와 같은 순위를 유지했다. 같은 기간 종근당이 9.0%에서 10.0%로 투자 비율을 늘리며 5위에서 3위로 상승했고 유한양행(12.8→ 9.7%)과 GC녹십자(9.7→ 8.2%)는 각각 한 계단씩 떨어진 4위, 5위로 집계됐다.
━
임상 속도 높인 한미·종근당… 유한양행 "올 4분기 투자 반등"━
종근당은 ADC(항체-약물 접합체) 기반 항암 신약 CKD-703 등 신규 임상 진입의 영향으로 R&D 투자비가 상승했다. 종근당은 지난 7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CKD-703의 임상 1/2a상을 승인받았다. 미국 내 비소세포폐암 및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CKD-703의 안정성과 최대 내약 용량을 확인하고 최적 용량 도출, 약동학·면역원성 등을 종합 평가하는 게 핵심이다.
기존 R&D 투자 비용 1위였던 유한양행의 순위가 떨어진 건 라이선스인 계약 감소 등의 영향으로 관측된다. 유한양행은 지난해 1~3분기 사이러스테라퓨틱스 및 카나프테라퓨틱스, 유빅스테라퓨틱스와 각각 계약금 60억원, 50억원 규모 라이선스인 계약을 맺었다. 올해에는 신규 품목을 도입하지 않았다. 이 밖에 오스코텍·제노스코에 지급하는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 기술이전 마일스톤(단계적 기술료) 축소도 R&D 투자비 감소에 영향을 줬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렉라자 중국 상업화에 따른 마일스톤 지급, 알레르기 신약 레시게르셉트 임상 2상 진입 등으로 올 4분기에는 R&D 투자 비용이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