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야구위원회(KBO)는 19일 10개 구단과 함께 2025 2차 드래프트를 비공개로 진행한다. 자유계약선수(FA) 시장이 생각만큼 불이 붙지 않은 상황이라 2차 드래프트 결과에 대한 관심도 더욱 커졌다.
2011년 처음 도입된 2차 드래프트는 구단에겐 전력 보강, 선수에겐 부족했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다. 격년제로 진행됐던 2차 드래프트는 20019년 퓨처스 FA 제도가 시행되며 잠시 폐지됐다가 2023년 부활했다.
2차 드래프트를 앞둔 구단들의 수 싸움이 치열해졌다. 최대 43명의 선수가 유니폼을 갈아입을 수 있다. 각 구단은 35명의 선수를 보호 선수 명단에 묶을 수 있다. 1~3년 차 선수, 육성선수, 군 보류선수, 육성군 보류선수, 입단 4년 차 중 군 보류 및 육성군 보류에 있는 선수 등은 자동으로 지명 대상에서 제외된다.
각 구단은 2차 드래프트 지명 순위에 따라 원소속구단에 양도금을 지급해야 한다. 양도금은 1라운드 4억원, 2라운드 3억원, 3라운드 2억원이며 하위 3개 팀이 지명할 수 있는 4라운드 이하는 1억원이다. 즉 최하위인 키움 히어로즈와 9위 두산 베어스, 8위 KIA타이거즈는최대 5명까지 선수를 지명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