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실은 19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글을 올려 고가 논란의 중심에 선 '난각번호 4번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그는 어린 시절 달걀프라이에 대한 애정이 나이가 들어서도 남아 있어 "품질을 우선하는 달걀을 찾아 몇 년째 선택해 왔다"며 "달걀은 신선함이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 '우아란'만큼은 타협 없이 품질을 기준으로 삼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논쟁은 난각번호 4번 달걀 한판에 1만5000원으로 1~2번 달걀보다 가격이 높다는 것 때문에 시작된 논쟁"이라며 "일반적으로 4번 달걀 30구 1만5000원인 것은 비싼 것이 맞지만 우아란 품질은 시중에서 판매하는 어떠한 달걀보다 월등히 품질이 좋다. 가격에 걸맞는 가치를 갖추기 위해 노력·연구했다. '양질의 달걀을 만든다'는 자부심에 소비자 마음까지 헤아리지 못한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아란의 가격 기준이 난각번호가 아니라 'HU'(호우유니트·달걀 품질 단위)라고 설명했다. "우아란은 어떤 난각번호와 경쟁해도 좋을 만큼 높은 품질을 유지하고 있다"며 "난각번호만 보고 품질을 단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우아란은 강황·동충하초 등 고가 원료를 급여하고 농장의 위생관리와 질병 관리에 높은 비용을 투입해 신선도와 품질을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회사는 HACCP, 무살충제, 무항생제, 무농약, 무의약품 인증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며 "난각번호에 매몰된 소비자들이 사육환경이 아닌 '품질 기준'으로 달걀을 선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물복지 달걀이 비싼 이유는 환경과 동물 존중에 대한 비용일 뿐 품질 자체와는 무관하다는 점도 재차 강조했다.
이경실은 "난각번호 1·2번만 좋은 것이고 4번이라서 무조건 저품질이라는 인식이 바뀌길 바란다"며 "4번 사육환경에서도 품질 차이는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 이번 논란을 계기로 소비자들에게 정확히 전달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