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올 3분기 말 현금 및 현금성 자산 466억원을 보유했다. 전년 동기(245억원)와 지난해 말(430억원)과 비교했을 때 각각 90.3%, 8.5% 늘었다.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을 포함한 유동자산의 경우 올 3분기 말 654억원을 기록, 전년도 3분기 말(272억원) 대비 140.6% 급증했다. 지난해 말(521억원)보다는 25.5% 늘어났다.
온코닉테라퓨틱스는 부채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올 3분기 말 온코닉테라퓨틱스의 부채는 총 50억원이다. 지난해 말(49억원)과 유사한 수준이며 전년도 3분기 말(34억원) 대비 45.4% 증가하는 데 그쳤다. 1년 안에 갚아야 할 유동부채는 같은 기간 33억→48억→50억원으로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을 크게 밑돌고 있다.
온코닉테라퓨틱스의 재무상태가 건전한 배경에는 지난해 10월 출시한 자큐보가 자리한다. 이전 세대 의약품인 PPI(프로톤펌프억제제) 계열의 단점을 보완한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계열 제품인 자큐보는 국내 출시 후 올해 9월 말까지 누적 처방액 345억원을 기록하며 온코닉테라퓨틱스 실적 및 재무 개선을 주도하고 있다.
━
온코닉, 자큐보 중심 실적 개선세 순항… 네수파립 개발 '주목'━
온코닉테라퓨틱스의 실적 개선세는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자큐보의 적응증 추가와 신규 제형 획득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자큐보는 지난 6월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로부터 위궤양 치료제 적응증을 추가로 확보했다. 지난 10월에는 물 없이 입안에서 녹여 복용할 수 있는 제형인 구강붕해정으로 품목허가를 받았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를 살펴보면 지난해 148억원이었던 온코닉테라퓨틱스 매출은 올해부터 매년 ▲509억원 ▲776억원 ▲1042억원 등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지속 성장을 위해 자큐보 수익을 R&D(연구·개발) 투자에 사용할 계획이다. 자체 신약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돈 버는 바이오'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는 게 핵심이다. 중심에는 이중표적 합성치사 항암신약 후보물질 네수파립이 있다. 온코닉테라퓨틱스는 탄키라제와 파프를 동시에 억제하는 계열 내 최초 의약품으로 네수파립을 개발하고 있다. 네수파립은 최근 식약처 췌장암으로부터 임상 2상 IND(임상시험계획) 승인을 획득했다.
온코닉테라퓨틱스 관계자는 "재무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한국의 길리어드 사이언스(글로벌 주요 빅파마)가 될 수 있도록 신약 연구개발에 더욱 매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