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은 상·하단 구성을 통해 위쪽에는 인간의 수명과 재물을 관장하는 치성광여래를, 아래에는 전신교의좌상 형태의 자미대제를 배치한 것이 특징이다. 이는 구한말 경상도 지역 불화 가운데 '전신교의좌상 형태 치성광여래도'의 시발점으로 평가된다.
주요 제작자는 19세기 말~20세기 초 경남·전남 일대에서 활약한 수화승 연호당 봉의이며, 합천 해인사 괘불도 제작에 참여한 서암당 전기 등도 동참했다. 화기를 통해 제작 시기와 참여 승려들이 명확히 확인되며, 학술적 가치가 높다는 점에서 문화재 지정이 이뤄졌다.
이진희 경남도 문화유산과장은 "지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문화유산이 추가로 지정됐다"며 "정확한 보존과 관리를 통해 지역의 중요 문화자원으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