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장관은 20일 서울 용산구 갈월동 HJ중공업 본사에서 열린 '국토부·LH 합동 주택공급 TF'와 'LH 주택공급특별추진본부' 현판식에서 "연내 추가 공급대책을 발표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김 장관은 "문 정부 당시 주택공급을 위해 추진하다가 잘 안된 지역, 노후 공공청사, 재개발·재건축, 그린벨트 해제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섣부른 대책 발표는 없다고 못 박았다. 그는 "앞선 정부들이 준비가 미비한 상태에서 후보지를 발표해 시장의 신뢰를 잃었던 만큼 신중하고 꼼꼼하게 내용을 마련해서 발표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은 문 정부 당시 좌초됐던 부지 개발 사례를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문 정부는 2020년 8월 서울 노원구 공릉동 태릉CC, 서울 마포구 상암동 서부면허시험장 부지 등을 활용한 공급 대책을 발표했지만 주민들의 반발과 기관 간 이견 등의 문제로 무산된 바 있다.
━
서울시와의 관계 '문제없어'━
김 장관은 "서울시가 18개의 안건을 제안했다"며 "이를 면밀히 검토 중이고 80~90%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지난주 오세훈 서울시장과 오찬을 가졌고 가까운 시일 내에 관저도 방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용산정비창 부지개발 사업과 관련해서도 서울시와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서로 생각하는 방향이 다를 뿐"이라며 "구체적인 협의를 진행하고 있고 긍정적인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용산정비창 사업은 약 46만㎡의 용산역 정비창 부지를 국제업무·첨단사업의 중심지로 탈바꿈시키는 프로젝트다. 정부와 여당은 해당 사업에 주택 공급을 2만 가구까지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서울시는 사업 지연을 우려하며 기존 6000여 가구 수준이 적절하다고 맞서고 있다.
이날 국토부와 LH는 합동 주택공급 TF와 이상욱 LH 사장 직무대행이 본부장을 맡는 주택공급특별추진본부 신설을 알렸다. 두 기관이 한 공간에서 사업을 진행하며 주택 공급을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는 의도다. 2030년까지 수도권에 135만 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밝힌 정부의 9·7 공급대책의 후속 조치로 풀이된다.
김 장관은 "국토부와 LH가 원팀이 돼 서울과 수도권에 원활한 주택 공급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