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는 2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감염병 예방 정보를 발표하고 대응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야생 너구리는 개선충증(피부병), 공수병 등 다양한 질병을 옮길 가능성이 있어 접근을 삼가야 한다. 특히 너구리 출몰 지역에서 반려동물과 산책 시 진드기가 사람에게까지 전파돼 라임병,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등 심각한 감염병을 유발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반려동물과 산책할 때는 반드시 목줄을 채워 야생동물과의 접촉을 사전에 차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너구리 서식지인 숲, 풀밭, 덤불이 많은 곳에서는 소매가 긴 옷과 긴 바지를 착용하고 바지 끝을 양말 안에 넣고 피부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다.
만약 너구리에게 공격받아 상처를 입는다면 즉시 병원에 방문해 검사를 받고 필요시 백신 또는 면역글로불린 주사를 맞아야 한다.
발열, 진드기에 물린 흔적(교상)·딱지(가피), 유주성 홍반(퍼지듯 확산하는 붉은 반점) 등 진드기 매개 감염병 의심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곧바로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한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도심에서 야생 너구리를 발견하면 반드시 안전거리를 유지하고, 반려동물 관리도 더욱 세심히 하길 바란다"며 "감염병 예방 정보를 지속적으로 알리고 현장 모니터링을 강화해 시민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대응 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