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21일 사장 승진 1명, 위촉업무 변경 3명 등 총 4명 규모의 '2026년 정기 사장단 인사'를 발표했다.
이번 인사에서 노 사장은 직무대행을 떼고 정식으로 DX부문장을 맡게됐다. 모바일경험(MX)사업부장 역할도 그대로 겸임한다. 새롭게 대표이사에도 선임되며 전영현 부회장과 함께 '투톱 체제'를 구축했다.
전영현 부회장은 DS부문장 겸 메모리사업부장 역할을 그대로 이어간다. 당초 메모리사업부장에는 새로운 인물을 중용할 것이란 관측이 있었지만 삼성전자는 전 부회장을 그대로 유임했다.
최근 메모리사업이 회복되고 본격적인 성장 사이클에 올라탄 시점에서 변화를 주기보다는 기존의 체제를 유지해 사업의 연속성을 이어가려는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MX, 메모리 등 주요 사업의 지속적인 경쟁력 강화와 시장 선도를 위해 양 부문장이 MX사업부장과 메모리사업부장을 겸직하는 체제를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내년 1월1일 공식 부임해 앞으로 나노 기술 전문성 및 학문간 경계를 뛰어넘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양자컴퓨팅, 뉴로모픽반도체 등 미래 디바이스 연구를 주도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DX부문의 최고기술책임자(CTO)에는 윤장현 삼성벤처투자 대표가 부사장에서 사장으로 승진하며 새롭게 선임됐다. 삼성 리서치장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윤 신임 사장은 MX사업부 사물인터넷(IoT)&타이젠개발팀장, 소프트웨어 플랫폼팀장, 소프트웨어담당 등을 역임했으며 지난해 말 삼성벤처투자 대표이사를 맡아 AI, 로봇, 바이오, 반도체 등 유망기술 투자를 주도해 왔다.
이번 사장 승진과 함께 DX부문 CTO로서 모바일, TV, 가전 등 주력사업들과 AI, 로봇 등 미래 기술간의 시너지를 만들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정기인사에 앞서 수시인사를 통해 올해 2명의 사장을 선임한 바 있다. AI 기술 고도화 등을 통해 갤럭시S25의 개발 성공과 글로벌 사업 성장을 주도한 최원준 부사장을 올해 3월 MX사업부 최고운영책임자(COO) 사장으로 승진시켰다.
4월에는 3M, 펩시 등 글로벌 브랜드의 최고 디자인 책임자를 역임한 마우로 포르치니를 DX부문 최고 디자인 책임자(CDO) 사장으로 영입했다.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우수인재를 연중에 승진시키는 수시인사 기조를 이어갈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이번 정기인사에 대해 "2인 대표이사 체제를 복원하고 핵심사업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하에서 경영안정을 도모하는 동시에 미래 기술을 선점하는 계기를 마련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부사장 이하 2026년도 정기 임원인사와 조직개편도 조만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