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회장은 21일 일본 도쿄대 야스다 강당에서 열린 '도쿄포럼 2025'의 비즈니스 리더 세션에서 "한국과 일본은 더 빠른 이익을 추구하는 전통적 자본주의의 한계를 넘어 사회 전체 비용을 낮추는 '저비용 사회'로의 전환을 고민해야 한다"며 세 가지 협력 축을 제안했다.
최 회장이 제시한 협력 축은 ▲에너지 ▲의료 서비스 ▲스타트업이다. 최 회장은 "한국과 일본은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다"며 "에너지를 함께 저장·공유·운용하면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고령화로 급증하는 의료비 문제는 양국이 각각 인프라를 구축하면서 중복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며 "보험 체계가 다르더라도 일부 상호 인정 제도를 도입하면 양국의 고령층이 서로의 의료·요양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사회적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스타트업 협력을 통해 한·일 양국을 '사회 문제 해결 테스트베드'로 만들 수 있다"며 "사회 문제를 해결한 스타트업에 사회적 가치 크레딧을 부여한다면 사회 비용 절감과 혁신 생태계 활성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접근은 한·일이 새로운 자본주의 모델을 함께 만들어가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궁극적으로 바라보는 것은 세금 부담은 줄고, 사회는 더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비즈니스에는 더 많은 여유가 생기는 구조"라고 밝혔다.
현대 자본주의로 나아가기 위해선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최 회장은 "사회 문제가 증가하면 비용도 늘어난다"며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했다. 이어 "사회적 가치에 자발적·의욕적 두뇌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인센티브를 강화해야 한다"며 "어떤 주체가 정부가 해야 할 사회 문제 해결을 대신해줬다면, 그들에게 세액 공제와 같은 혜택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AI와 디지털 기술, 데이터를 통해 사회적 가치 비용이나 창출 가치를 정량화할 수 있다"며 "이제 경제 활동을 통해 얻는 재무적 이익과 사회 문제를 줄이는 사회적 가치 두 가지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한 SK의 사례도 소개했다. SK는 10년 동안 100개 이상의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사회성과인센티브(SPC)를 실험해왔다. 최 회장은 "사회적기업에서 창출한 사회적 가치를 연말에 측정하고, 현금으로 보상을 진행한 것"이라며 "그간의 경험으로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인센티브를 제공하면 실제로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도쿄포럼은 최종현학술원과 일본 도쿄대가 2019년부터 매년 공동 개최해온 국제 포럼이다. 올해 주제는 '자본주의를 다시 생각하다 : 다양성, 모순, 그리고 미래'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