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니스 엘보와 골프 엘보는 발생 부위를 제외하고는 그 발생 원인이나 증상이 비슷한 경우가 많아 같은 질환으로 오해할 수 있는데 테니스 엘보와 골프 엘보 역시 차이점이 있기 마련으로 그에 따른 정확한 치료가 필수이다.
먼저 ‘테니스 엘보’의 정확한 진단명은 ‘상완골 외측상과염’으로, 주로 40세 이상의 가정주부에게서 흔히 발견되는 질환으로 손목을 손등으로 젖히는 근육이 팔꿈치의 외측에서 시작하는 부위에서 건의 퇴행성 변화나 파열이 발생하여 통증을 일으킨다.
과거에는 테니스의 백핸드 스트로크 시 손목만을 사용하는 플레이어에게서 자주 발견되어 테니스 엘보라는 이름이 붙여지게 되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으나, 현대에서는 레슨의 효과로 테니스를 치는 사람보다는 배드민턴, 탁구, 골프 등을 즐기는 사람에게서 더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테니스 엘보의 주 증상으로는 팔꿈치가 아픈 동시에 통증이 팔 전체로 퍼질 수도 있으며, 물건을 들거나 밀 때 주로 팔꿈치 바깥쪽에 통증이 생겨난다.
손에 힘을 주면 상과부에 통증이 생기며 손을 쥐는 힘이 떨어진다. 따라서 물수건을 차거나 물을 담은 세면기를 들어 올릴 수 없고, 심한 경우 열쇠를 돌리거나 머리를 빗는 등 가벼운 행동에도 통증이 생겨난다.
골프 엘보의 경우, 골프 스윙이나 수영의 배영과 같이 손을 뒤로 빼내는 동작 또는 장작 패기나 전기톱 사용과 같은 전완의 굴곡근군을 사용하는 동작에 의해 팔꿈치 내측, 즉 상완골 내과에서 시작하는 부위에 건 병증이 생긴 질환을 말하는데, 골프 엘보 역시 주먹을 쥐거나 물수건을 짜기가 어려우며, 손목과 팔꿈치의 불안저한 움직임이 감지되기도 한다.
팔 근육이 긴장하고 기능적 근력이 저하됨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으로 내측 상과부의 압통이 있다.
테니스 엘보와 골프 엘보는 진행 단계에 따라 치료방법 역시 다른데 내전 및 회 외전 운동을 하는 작업 시 발생한 경우 난치성 질환으로 이어져 치료가 어려운 경우도 적지 않다.
기존에는 수술 또는 스테로이드 주사 등을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프롤로 인대강화주사 또는 DNA 주사 등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평소 일상생활 중 손목이나 팔을 무리하게 사용하거나 과도하게 사용하여 통증이 느껴진다면 난치성 테니스 엘보로 악화되기 전에 정확한 진단을 받아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제공=고양시 성사동 유상호병원 정리=강인귀 기자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